학술논문
공감적 상상력을 통한 예술가 생애사 활용 방안 연구: 성인미술교육중심으로
이용수 271
- 영문명
- Study of Artist Biographical Utilization through Empathic Imagination - Focusing on Art Education for Adult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정희경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59호, 233~2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술가의 생애사를 통해 예술의 이해를 넓히고, 성인의 삶의 의미를 형성하는 교
육적 효과를 얻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예술가 생애사는 미술수업에서 많이 활용되는 내용
이지만, 왜곡된 이해 때문에 교육적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공감을 통해 극복하고자,
공감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인간적인 관심으로의 깊이 있는 공감과정을 유도하고자 한다. 이
때, 성인들의 특징과 요구를 고려하고 예술가 생애사의 특징을 반영한 상상력의 과정과 방법
이 필요하다. 이것을 상상의 개념과 과정에 대해 창의적인 제안을 한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
상력을 통해 즉 ‘표면과 심층의 구별’, ‘변형과정’을 적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의 재조명된 공감은 공감적 상상력을 필요로 하며, 구체적인 상상과정으로 심화된
공감적 상상력의 이해는 예술의 이해를 넘어 성인 개인 삶의 의미발견과 더불어 사회적 공감
과정을 이끌어 줄 것이다. 본고는 마지막에 이해를 돕는 사례와 함께 예술가 생애사를 통한
공감적 상상력을 형성하는 과정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art by the artist biographical
and find ways to get the educational effect of forming the meaning of adult life.
A distorted understanding of the artist’s biographical overcome through empathy, to
demonstrate empathy and imagination to induce a deep empathy to the process of
human interest.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and methods of the imagination. This process and way of imagining the
imagination of Gaston Bachelard, that will be described by applying the
‘distinction between surface and depth,’ ‘transformation’. The refocus on the
sympath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ceeds to mean the formation of life
through biographical artis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rt.
With practice we propose a specific course and direction of empathic
imagination to form through the biographical artists. Thus, with personal meaning
given to pursue the growth of the cultural citizen with cultural competenc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상과 미술중점 예술놀이를 통한 교사 인성교육 프로젝트 연구
- 미술영재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마을 벽화와 주민문화와의 융합적 소통 가능성 고찰
- 공감적 상상력을 통한 예술가 생애사 활용 방안 연구: 성인미술교육중심으로
- 3On’s 학습원칙에 의거한 프로젝트기반 예술직업탐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유학기제 진로탐구 중심으로
- 미술 감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과 미술 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