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258
- 영문명
- A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for Enhancing Health Literacy: A Case of Art and Health Integrated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안혜리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59호, 163~1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헬스 리터러시(health literacy)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으로서 미술·보
건 통합수업 사례를 탐구하였다. 이 통합 수업은 오늘날 현대 공동체가 도시를 중심으로 발
전하고 있고, 도시 공동체의 건강과 지속가능한 개발이 21세기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기획되었다. 헬스 리터러시의 개념, 중요성, 현황과 아울러 도시 공동체의 건강 증
진 전략으로서 건강도시 운동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영국의 의학과 공중보건학 분야에
서 시작된 예술과 보건(건강) 분야의 통합에 관한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예술의 주요 특징인
창의성, 표현, 정체성 등이 보건과 웰빙에 공헌하고 있다는 증거들을 제시하고, 특히 공동체
속에서 건강과 웰빙을 증진하는 예술의 활용 사례와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미술과 보건의 만
남에 초점을 둔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의 국내 사례로서 서울시 중구보건소, 국민대 예술의료
융합연구센터, 아츠메디플랫폼의 협업으로 진행된 ‘건강아 놀자, 미술아 놀자’ 프로그램을 고
찰하고 그 교육적 성과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중구보건소 중림동 분소에서 해
당 지역 아동과 성인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첫째, 아동 대상의 미술·보건 통합 수업은 실제
과일과 채소를 활용한 구체적인 미술 활동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파이토케미컬과 그 효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음식물 섭취와 건강한 식생활 습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
었다. 둘째, 성인(노인) 대상의 미술·보건 통합 수업에서는 참여자 각자의 속마음을 표현하고
소속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정신 건강에 도움을 주었다. 이 연구는 도시 공동체의 건강 증진
을 꾀한 미술교육의 시발점이 되는 국내 사례로서 가치를 지니며, 미술·보건 통합수업의 단기
적인 성과를 보여준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미술과 보건·의료 분야 간의
통합 또는 융복합 관련 기초 연구로서 자리매김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examined a case of art and health integrated classes as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enhance health literacy. Today, development of
contemporary communities has been centered upon the city, and heal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the 21st
century. The study has explored the concept of health literacy and its values and
current status as well as development of ‘Health Cities’ movement. By identifying
researches on integrated programs in ‘arts and health’, which started in the field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I have suggested that creativity, expression, and
identity as the characteristics of arts, which contribute to health and well-being of
the community. As a Korean cas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ith a focus
on art and health integration, the study has examined and discussed ‘2014 Cultural
Health Project’ and its educational outcomes. The project has been implemented
by Junggu Community Health Center with the collaboration of Arts+Medicine
Convergence Research Center of Kookmin University and ArtsMedi Platform.
During art and health integrated classes for elementary students, children could
understand the phytochemicals and its functions with art activities using fruits and
vegetables and change their perceptions of healthy eatings and diets. During the
classes for elder people, they had benefit in their mental health through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sense of belonging. This study is valuable for
it suggests a Korean cas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for enhancing health
literacy and provides a foundation of interdisciplinary study of art and health.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상과 미술중점 예술놀이를 통한 교사 인성교육 프로젝트 연구
- 미술영재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마을 벽화와 주민문화와의 융합적 소통 가능성 고찰
- 공감적 상상력을 통한 예술가 생애사 활용 방안 연구: 성인미술교육중심으로
- 3On’s 학습원칙에 의거한 프로젝트기반 예술직업탐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유학기제 진로탐구 중심으로
- 미술 감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과 미술 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