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 감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과 미술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197
- 영문명
- Factors Predicting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with Personality and Art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연,민경환,김민희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59호, 145~1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인의 미술 감상 동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미술 감상 동기 척도를 제작
하고, 미술 감상 동기와 감상자 개인 특성과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
해 먼저 미술관 감상자들에게 미술 감상 동기에 대해 질문하여 10개의 미술 감상 동기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예술적 동기, 정서적 동기, 교육적 동기, 사
회적 동기로 구성된 8개 문항 4요인 미술 감상동기측정도구를 제작하였고,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미술 감상 동기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선척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성격과
후천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미술 경험을 선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격과
미술 경험은 미술 감상 동기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성격에서는 개방성, 미술 경험에서는
미술지식이 가장 큰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에서 성격은 예술적 동기를, 미술지
식은 교육적 동기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의 시각에서
미술 감상을 이해하고 전시 및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경험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the art appreciation scale to understand
the motivations for art appreciation of general populat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and appreciators’ individual
differences. For the art appreciation scale, 10 items of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were created based on the preliminary open responses by the appreciators from the
museu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4 factors with 8 items of the art
appreciation scale and their reliability was tested.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consist of artistic, emotional, educational and social motivations. Personality and art
experience variabl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and appreciators’ characteristics. Both personality and art
exper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art appreciation and the strongest predictors were
openness and art knowledge. For the specific factor of the art appreciation,
personality best predicted the artistic motivation whereas art knowledge best
predicted the educational motivation. Current findings will provide scientific
support for the services of art exhibitions or education that better understand
appreciators’ perspectiv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상과 미술중점 예술놀이를 통한 교사 인성교육 프로젝트 연구
- 미술영재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마을 벽화와 주민문화와의 융합적 소통 가능성 고찰
- 공감적 상상력을 통한 예술가 생애사 활용 방안 연구: 성인미술교육중심으로
- 3On’s 학습원칙에 의거한 프로젝트기반 예술직업탐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유학기제 진로탐구 중심으로
- 미술 감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과 미술 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