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tore Management Service by Collecting and Predicting Contextual Information of Restaurant Owners : Based on the Delivery Platform
발행기관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저자명
SeokHyun Choi Eunjo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5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12~21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17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요식업 점주의 운영 환경과 배달 플랫폼 사용 맥락을 반영한 예측형 매장관리 정보서비스의 UX/UI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배달 플랫폼은 주문 처리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상 변화나 지역 행사와 같은 외부 변수 및 점주의 개별 상황을 반영한 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점주 대상 심층 인터뷰 및 간접조사를 통해 정보수집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점주는 미시적 맥락에 기반한 정보 단위 제공, 데이터의 자동 해석, 멀티채널 기반 수집 방식, 그리고 피드백 기반의 정보 순환 구조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보 단위의 재정의(Micro-neo-Perspective)와 정밀도 기반 자동화(Post-Precision)를 중심으로 한 예측형 정보 제공 UX/UI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가이드라인은 점주의 실질적 맥락을 반영한 정보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자영업자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플랫폼의 진화 방향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UX/UI guidelines for predictive store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 that reflect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restaurant owners and the context of use of delivery platforms. Since the existing delivery platform is organized around order processing,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information reflecting external variables such as weather changes and local events and individual situations of the store own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and demands 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indirect surveys for store own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tore owners need an information unit provision based on micro-context, automatic interpretation of data, multi-channel-based collection method, and an information circulation structure based on feedback.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redictive information provision UX/UI guideline centered on micro-neo-perspective and post-precision of information units. This guideline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evolution of platforms that support strategic decision-making of self-employed people by designing an information structure that reflects the practical context of store owners.

목차

1. 서론
2. 배달 플랫폼 사용 행태 및 매장 관리 경험 파악
3. 혁신원리 도출과 사용자 데이터의 조합을 통한 주요 인사이트(Key Insight) 및 서비스 가이드라인 도출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eokHyun Choi,Eunjong Lee. (2025).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5 (5), 12-21

MLA

SeokHyun Choi,Eunjong Lee.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5.5(2025): 1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