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이용수 990
- 영문명
- Exploring Strategies for Implementation of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to Cultivate Key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박소영,양윤정,백경선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59호, 61~9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핵심역량에 기반하여 개정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
도록 실행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를 이론적 탐
구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 부합되게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
하여 개괄적인 교육과정 실행 방향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반영된 역량을 분석하고, 학교 수
준에서의 실행 방안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외국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섯 가지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기반하
여 미술 수업이 계획되고 실행되며 평가되어야 한다는 실행의 기본 방향을 확인하였고, 교사
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과 재구성한 수업 계획에 기반한 교수·학습 및 평
가를 중심으로 실행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미술
수업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계획하는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교육과정 재구성에 의해 계
획된 수업의 실행으로써 교수·학습과 평가, 수업 전반에 대한 검토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의
과정을 사례를 들어 제시하였다. 그밖에 미술 교과 역량 교육과정에 기반한 수업 실행을 위
해 필요한 인적, 물적 지원 사항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for schools to implement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based on key competencies. First,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we made operational defini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n drew general directions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2015 national curriculum.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competencies reflected on directions of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nature,
objective, content structure,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as well as foreign examples that gave implications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chools.
In order to cultivate five competencies defined by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we could confirm the basic directions that art lessons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 curriculum and explore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cusing on curriculum reorganization based on teachers autonomy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based on reorganized lesson plans.
We floated the ideas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o develop objective,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and presented the feedback process about results and
review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ssessment, and the whole lesson
through implementing the lesson planned by reorganized curriculum with examples.
We also suggested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supports needed for
implementation of lessons based on competency-based art curriculum.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상과 미술중점 예술놀이를 통한 교사 인성교육 프로젝트 연구
- 미술영재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마을 벽화와 주민문화와의 융합적 소통 가능성 고찰
- 공감적 상상력을 통한 예술가 생애사 활용 방안 연구: 성인미술교육중심으로
- 3On’s 학습원칙에 의거한 프로젝트기반 예술직업탐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유학기제 진로탐구 중심으로
- 미술 감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과 미술 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