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을 벽화와 주민문화와의 융합적 소통 가능성 고찰
이용수 114
- 영문명
- The Possibility of Harmonious Communication of Village Wall Painting and Local Culture - The Lights and Shadows of Wall Painting Villages -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심영옥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59호, 117~14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금도 벽화가 그려지고 있는 마을이 계속 생기고 있고, 벽화마을에 대한 부가가
치나 미적 의미를 제고하는 사안들이 발생하는 데 착안하여, 이러한 여러 가지 벽화마을의
장점과 단점을 재조명하고 좀 더 미적이고 가치 있는 벽화마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현지
주민들과 작가와의 소통이 융합적인 방법을 제언하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벽과 담
은 집안과 집밖을 차단하는 역할이나 보호하는 기능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아트펜스’라
는 장르가 등장할 만큼 벽화에 대한 의미와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마을마다 그려진
벽화는 조성된 지 4, 5년이 지나면서 대체로 훼손이 시작되는데, 마을 사정에 따라서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벽화가 그려진 벽화마을에는 우리가 얘기치 못한 명과
암의 사정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벽화마을이 안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은 무엇
이며, 부정적인 측면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미래 벽화마을의 설계를 위해서도 매우 고
무적인 일일 것이다.
벽화마을의 긍정적인 측면을 파악하기 위해 지역주민에게 생활만족도, 지역문화 향상도, 도
시재생 정책 반영도 등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고,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주민과의 소통
부재, 행정 운영상의 문제, 지속가능한 프로젝트 부족 등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도시 미관
정비를 위해 시작된 벽화가 도시의 흉물로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긍정적
인 측면의 발전 방안이나 부정적인 측면의 재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ased on the idea that the villages with wall paintings still show
up continuously and the things are happening that make added values or artistic
implications of wall painting villages rise, is to re-illuminate the several good
effects and bad effects about wall painting villages and provide an harmonious
approach by which artists and the local inhabitants can communicate each other
for more valuable and artistic developments of the wall painting villages.
Previously, walls and fences were just used as protection or barricades between in
and out of houses, however, the meanings and values of the wall paintings rise so
much as a new genre ‘art fence’ is emerging.
However, the produced paintings on the walls begin to decay after 4 or 5
years of completion in general, and according to the cases of the villages the
works are just left abandoned. Like this way, some light and shadowy issues we
have not expected are coming up in the wall painting villages. From this effect of
view, it will be very encouraging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that
the wall painting villages have, even for design of the future wall painting
villages. As the positive effects, the wall paintings have had influence on the local
inhabitants about their lives satisfactions, improvement of the local cultures, and
the considerations for the town reviving policies. As the negative effects, there
have been the issues of the lack of communications with the local people,
administrative operation, and not enough sustainable projects. To keep the wall
paintings which began for improving cities appearances from deteriorating into
abandoned horrid things in cities, we should rearrange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that we have mentioned in this paper.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상과 미술중점 예술놀이를 통한 교사 인성교육 프로젝트 연구
- 미술영재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마을 벽화와 주민문화와의 융합적 소통 가능성 고찰
- 공감적 상상력을 통한 예술가 생애사 활용 방안 연구: 성인미술교육중심으로
- 3On’s 학습원칙에 의거한 프로젝트기반 예술직업탐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유학기제 진로탐구 중심으로
- 미술 감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과 미술 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