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영재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123
- 영문명
- A Basic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강주희,박지숙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59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영재를 위한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실시되었다. 진로교육
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관심이 높은 반면, 미술영재 진로 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
다. 영재는 일반 아동에 비해 진로 성숙도가 높으며, 다재다능하여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영재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프로그램 사례를
살펴보고, 미술영재 진로교육의 현황 파악을 위해 미술영재 교육 기관 대상 진로교육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담당 교사들은 진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으나, 학교 급
에 따라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며, 교육 자료의 부족, 전문가 섭외의 어려움,
시수의 부족 등으로 인해 진로교육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급에 따라, 교사별로 진로교육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영재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교사들은 미술영재들의 자
기적성탐색, 미술관련 직업군에 대한 이해 및 진로 계획 세우기 등을 진로교육의 주요한 내
용으로 언급하였다. 진로교육 방법으로는 직업 체험과 특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
영에 있어서는 영재 지도 교사로서 학생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의 어려움, 진로 관련 정보
의 부족, 전문가 섭외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인터넷 강의, 지역연계 프로젝트, 자기성
찰을 위한 시간 등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따라서 미술영재 진로교육은 학교급에 따
라 차별화할 필요가 있으며, 진로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한 노력 및 총체적 접근, 예술
적 역량 함양을 위한 충실한 기본 교육을 전제로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a basic research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Interests in career education
increases nationally but there is an almost complete lack of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The gifted tend to achieve high career
maturity comparing to other kids their age and they experience the difficulties to
decide their career because of their versatile tal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literature to explain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investigate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gifted. Then we did survey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Gifted resource teach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ducation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n career education depending on level of school.
On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s of gifted resource teachers, we found
that teachers considered self knowledge, understanding of careers related to visual
arts, and career planing as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And for career education
method they preferred work study and special lecture of professionals. Teachers
answer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gifted,
searching information on careers related visual arts, and contacting with
professionals in arts.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needs to be
differentiated based on clear understanding of career education, holistic approaches,
and foundational artistic competenci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상과 미술중점 예술놀이를 통한 교사 인성교육 프로젝트 연구
- 미술영재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마을 벽화와 주민문화와의 융합적 소통 가능성 고찰
- 공감적 상상력을 통한 예술가 생애사 활용 방안 연구: 성인미술교육중심으로
- 3On’s 학습원칙에 의거한 프로젝트기반 예술직업탐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유학기제 진로탐구 중심으로
- 미술 감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과 미술 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