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령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이용수  896

영문명
A Structural Analysis on School-Age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d its Related Variables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최자은 문수백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5권 제1호, 147~16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변인인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 사의 정서적 지지, 또래애착,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학령기 아동의 주 관적 안녕감을 상향조정할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D시의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아동 798명 중 질문지에 성실히 응답한 669명이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 하였다. 모델부합도는 절대부합도지수인 SRMR, RMSEA와 상 대부합도지수인 CFI, TLI.를 통해 평가하였고,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 성을 검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 적 지지, 또래애착,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 -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적 지지, 아동의 정서조절은 또래애착에 직접영향을 미쳤 다. 셋째,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아동의 정서조절에 직접영향을 미 쳤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하여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교사의 정 서적 지지, 또래애착과 아동의 정서조절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chool-ag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69 of the 5th and the 6th grade children in the region of Daegu.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SPSS 23.0, AMOS 23.0.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peer attachment affected directly on school-ag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Second,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ffected directly on school-age children’s peer attachment. Third,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affected directly on school-ag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emotional support of teachers, peer attachment and emotional control of children are important to enhanc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자은,문수백. (2018).학령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인간발달연구, 25 (1), 147-167

MLA

최자은,문수백. "학령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인간발달연구, 25.1(2018): 147-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