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신입생의 또래애착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942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the Academic Achivement of High School Freshman: The Role of Academic Self Efficacy as a Mediator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배현민 배천웅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5권 제1호, 79~9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또래애착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간의 직접적인 관 계를 살펴보고 또래애착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의 고등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또래애착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 업성취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SPSS 18.0을 활용하였다. 또래애착과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학 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의 매개효과 분 석 절차에 따라 단순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또래애착은 학업적 자 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또래애착의 하위요인 중 소외감을 제외한 의사소통과 신뢰감 은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 다. 둘째, 또래애착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 애착은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따라서 또래애착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또래애착이 높을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는 다시 높은 학업성취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2 high school freshmen students in the Daejeon area of South Korea. The three variables: peer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a Baron & Kenny (1986) three-stag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for peer attachment with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emerged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both educators and counselors in regards to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helping low-achieving students to increase their academic achiev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현민,배천웅. (2018).고등학교 신입생의 또래애착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5 (1), 79-93

MLA

배현민,배천웅. "고등학교 신입생의 또래애착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5.1(2018): 79-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