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환경의 질과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이 만 3세 유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75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d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on the Cognitive Ability of 3-year-olds ㆍ 저자명 배진희,김지현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배진희 김지현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5권 제1호, 61~7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환경의 질과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이 만 3세 유아의 인지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가정환경의 질과 만 3세 유아의 인지능력 간의 관계를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1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Kaufman과 Kaufman(2014)의 한국판 표준화 KABC-Ⅱ 도구를 활용하여 인지능력을 검사하고, 해당 유아의 어 머니를 대상으로 가정환경의 질(김지현, 정현심, 김정민, 이순형, 2012)과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김지현, 2015) 척도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해 분 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환경의 질은 유아의 인지능력을 유의하게 예측 하였고,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은 가정환경의 질과 유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 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환경의 질적인 측면과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장면에 대한 부모의 상호작용의 변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만 3세 유아의 인지능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는 점, 그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조명함으로써 유아의 인지능력을 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관계 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ality of home environment and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on the cognitive ability of 3-year-olds and verify whether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and the cognitive ability. We tested the cognitive ability of 110 children using the Korean version of KABC-II tool standardized by Kaufman & Kaufman (2014), and surveyed their mothers inquiring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Kim, 2012) and the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Kim, 2015).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and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ticipated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3-year-olds significantly, and the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had a dominant effect on the cognitive ability of children in comparison to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Furthermore, the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and the ability. This suggested that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predicted the cognitive ability directly, affected the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simultaneously, and predicted the cognitive ability indirectl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we pursued to anticipate the cognitive ability considering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as simultaneous factors and we deter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predicting the cognitive ability by illuminating the interrelations of the fa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사용시간과 부모의 미디어중재가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범주 경계선적 대상에 대한 유아의 생명현상 이해
-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부모자녀관계, 자아강도, 학교생활적응,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 가정환경의 질과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이 만 3세 유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부모의 감정불인정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기개념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고등학교 신입생의 또래애착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노년초월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과 어머니 - 유아 상호작용 간 관련성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 학령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