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부모의 감정불인정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기개념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이용수 1,281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Self-Concept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신문혜 이지연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5권 제1호, 95~11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감정불인정과 대학생의 자기분화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 기개념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소재 대학생 304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3.0과 AMOS 20.0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 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불인정은 부정적인 자 기개념과 경험회피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자기분화와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부정적 자기개념은 경험회피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감정불인정은 직접적 으로 대학생의 자기분화에 부적 영향을 주고, 부정적 자기개념과 경험회피 각 각의 매개를 통해서도 자기분화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의 감정불인정이 자기분화로 가는 경 로에서 부정적 자기개념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부 모의 감정불인정이 대학생의 자기분화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대학생 상담에 자기분화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 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self-concept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and self-differentia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4 college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PSS 23.0 and Amos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negative self-concept and experiential avoidance whereas higher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showed negative associa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Second,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had negative direct effect on self-differentiation, and each of negative self-concept and experiential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self-differentiation. Third,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presented an effect on self-differentiation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negative self-concept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is study empirically found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would affect the degree of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intervene with their self-differenti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사용시간과 부모의 미디어중재가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범주 경계선적 대상에 대한 유아의 생명현상 이해
-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부모자녀관계, 자아강도, 학교생활적응,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 가정환경의 질과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이 만 3세 유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부모의 감정불인정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기개념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고등학교 신입생의 또래애착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노년초월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과 어머니 - 유아 상호작용 간 관련성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 학령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