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과 어머니 - 유아 상호작용 간 관련성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이용수  605

영문명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about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Mother-Child Interaction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김연수 정윤경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5권 제1호, 25~4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모아상호작용 간 관련성을 종단 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만 3-5세 남녀 유 아 124명(남 63명, 여 61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3개월 간격으로 3회 가정을 방문하여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과 모아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이때 모아상호작용은 자유 놀이 상황에서의 상호작용을 녹화하여 반응성, 부정성, 간섭의 세 가지 측면의 어머니 행동 을 코딩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6개월간의 모아상 호작용 중 어머니 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시점 1에 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높을수록 반응적 행동의 감소가 컸으며, 부정적 행동 의 증가량이 큰 경향이 있었다. 반면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간섭적 행동 초기값은 컸으나 변화율과는 별다른 관련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양육자의 스 마트기기 사용 특성이 모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ongitudinal changes of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with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early childhood. Data of 124 mother-child (63 males, 61 female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through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mother-child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3-wave method. In this study, maternal behaviors (responsiveness, negativity, intrusiveness) were observed during the mother-infant free play interaction and were coded with the Caregiver-Child Affect, Responsiveness, and Engagement Scale (C-CA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for influence factors,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mothers who had a high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lso had a steep decrease in their responsiveness, Also, mothers who had a high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lso had a steep increase in negativenes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findings that caregiver’s smartphone usages were related with mother-child inter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연수,정윤경. (2018).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과 어머니 - 유아 상호작용 간 관련성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인간발달연구, 25 (1), 25-42

MLA

김연수,정윤경.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과 어머니 - 유아 상호작용 간 관련성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인간발달연구, 25.1(2018): 2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