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stimation of Fire Risk Index (FRI) and Regional Fire Risk Analysis in Korea
- 발행기관
- 국립소방연구원
- 저자명
- 강동우(Dongwoo Kang)
- 간행물 정보
- 『소방안전연구』제6권, 24~4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화재위험증가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단순한 화재 발생건수를 넘어 피해 심각도 및 기상조건 등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한 화재위험지수(Fire Risk Index, FRI)를 개발하고,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국내 각 지역의 화재위험도를 분석하였다. 해당 분석에는 행정안전부 화재통계와 기상청 자료 등의 국가통계 DB를 크롤링하여 활용하였고, 각 데이터를 엔트로피 가중치법을 통해 인구당 화재발생률, 화재당 인명⋅재산 피해, 평균기온, 건조지수 등으로 군집화하여 총 5개 지표로 구성된 FRI를 산출하였다. 풀드 최소자승법(Pooled OLS)을 통해 기후⋅인구 요인의 실질적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를 통해 연구모델의 예측력을 향상하였고, K-평균(K-means) 군집분석으로 비슷한 지역을 군집화하여 최종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강원도와 제주특별자치도가 지속적 고위험지역으로 나타났고, 평균기온 상승과 기온-습도 상호작용이 FRI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풀드 최소자승법 및 랜덤 포레스트의 결과는 각 R²=0.628과 R²=0.932로 높은 예측력을 확보하였고, K-평균 군집분석의 결과로 국내 17개 시도를 대도시형⋅농촌형⋅산업형⋅관광형 4개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화재위험 평가에서 종합적 지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기후변화 대응형 소방전략과 지역 특성별 맞춤형 대책 수립의 근거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o address the risk of amplification of climatically induced wildfire, this study formulated a Fire Risk Index (FRI) that integrates fire damage severity, meteorological exposure, and socioeconomic vulnerability, moving beyond aggregate incident numbers. Fire risks across South Korea's provinces (2018-2023) were assessed using national fire records and meteorological data. The FRI comprises five entropy-weighted factors: fire occurrence per capita, fatalities per fire, economic loss per fire, mean temperature, and a dryness indicator the combines humidity deficit and precipitation deficit ratios. Panel regression confirmed the demographic and climatic drivers, while Random Forest modeling improved forecasting (R²=0.932 vs. 0.628 for OLS). K-means clustering identified four regional typologies: metropolitan, rural, industrial, and tourist. Longitudinal analysis revealed Gangwon-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 persistent high-risk areas where temperature rise and temperature-humidity interactions substantially elevated FRI. This study demonstrates the utility of multidimensional indices for fire risk assessment and supports climateresilient, region-specific firefighting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본문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방안전연구 제6권 목차
- PyroSim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고등학교 기숙사의 ASET 분석
- 화재 위험지수(FRI) 산출 및 지역별 화재위험 분석
- 소방공무원 연금 수급 개시 연령 하향 조정 필요성 연구: 공평성 이론과 공공선택론을 중심으로
- 캠핑장 내 유형별(난방재료⋅텐트) 일산화탄소(CO) 발생 위험성 분석
- 형사사법 내 화재조사보고서⋅감정자료 활용과 제도 개선: 5대 화재사건 수사 판례 중심 실증 분석
- 구급대원 현장 도착 시 명백한 사망징후를 보인 환자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수준 분석
- 2025 의성 대형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별 지역 보건 및 대기 환경 피해 영향 분석
- 이태원 참사 이후 소방 대응과 국민 인식 변화: 언론 기사와 유튜브 댓글 비교 연구
- 원전 재난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의 대응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119 허위신고, 스와팅, 공중협박 범죄에 관한 비교법적 사례 연구
- 지역특성을 반영한 노인층 소방안전교육 활성화 방안: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와 부안군을 중심으로
- 패스파인더를 활용한 장애인복지관 피난안전성 분석: 대전시 동구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산불의 복사열유속이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개선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주수 실험을 통한 작동 신뢰성 향상 방안 연구
- AI 영상 분석을 활용한 화재원인 및 발화지점 추정 연구
- 한국형 증후군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국내외 감시체계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