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5 의성 대형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별 지역 보건 및 대기 환경 피해 영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ssessment of Public Health and Atmospheric Impacts of Greenhouse Gases from the 2025 Uiseong Large-Scale Wildfire
발행기관
국립소방연구원
저자명
손수연(Su-Yeon Son) 임수희(Soo-Hee Lim)
간행물 정보
『소방안전연구』제6권, 113~13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5년 3월 의성 대형 산불을 대상으로, 산불로 인해 배출된 온실가스가 지역 보건 및 대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PCC 산정식을 통해 CO2, CO, CH4, N2O, NO, NO2의 배출량을 정량화하고, ALOHA를 활용해 피해 범위를 산정하였으며, 산불 전후 대기질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온실가스별 독성 기준에 따라 두통, 호흡곤란, 순환계 장애 등 심각한 보건 위해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PM2.5⋅O3⋅NO2 농도가 평상시 대비 크게 상승하였다. 결론적으로 산불은 국지적 재난을 넘어 보건 및 대기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건강 모니터링, 대기질 관리, 조기경보 체계 구축 등 대응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greenhouse gases emitted during the March 2025 Uiseong wildfire on public health and air quality. Using the method based on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emissions of CO2, CO, CH4, N2O, NO, and NO2 were quantified, and the Areal Locations of Hazardous Atmospheres (ALOHA)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impact ranges. Air quality data showed notable increases in PM2.5, O3, and NO2 during the fire. Results indicate that wildfire-related emissions can cause severe respiratory and circulatory health risks, highlighting the need for effective monitoring, air quality control, and early warning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본문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수연(Su-Yeon Son),임수희(Soo-Hee Lim). (2025).2025 의성 대형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별 지역 보건 및 대기 환경 피해 영향 분석. 소방안전연구, (), 113-134

MLA

손수연(Su-Yeon Son),임수희(Soo-Hee Lim). "2025 의성 대형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별 지역 보건 및 대기 환경 피해 영향 분석." 소방안전연구, (2025): 113-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