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Evacuation Safety in Disability Welfare Centers Using Pathfinder: Focusing on the Daejeon Dong-gu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 발행기관
- 국립소방연구원
- 저자명
- 이홍상(Hong-Sang Lee) 이재영(Jai-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소방안전연구』제6권, 219~23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장애인 복지관의 승강기 및 층별 대피공간 배치에 따른 피난소요시간의 변화를 측정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는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3천제곱미터를 초과할 경우 승강기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피난약자인 장애인의 수직피난에 문제점이 있으며, 층별 대피공간의 경우 장애인복지관은 설치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어 수평피난에도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승강기가 1대만 설치될 경우와 2개가 설치되는 경우, 층별 대피공간이 설치되는 경우 등을 설정하여 피난소요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승강기 추가와 층별 대피공간 설치에 따라 피난소요시간이 최대 991.5초에서 최소 500.3초로 491.2초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난약자인 장애인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물의 용도에 따른 승강기 추가 설치 및 층별 대피공간의 배치에 대한 규정이 필요한 때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tilized an evacuation simulation program to measure changes in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the layout of elevators and evacuation spaces on each floor of a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to analyze the results. Rules on Building Installation Standards, etc. stipulate that if the total living space of a building on the 6th floor or higher exceeds 3,000 square meters, an additional elevator must be installed; however, this requirement presents challenges for the vertical evacu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re exempt from the requirement to provide evacuation spaces on each floor, which can pose a problem for horizontal evacuation. Comparative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scenarios involving one elevator, two elevators, and the inclusion of evacuation spaces on each floor. The results showed that adding elevators and installing evacuation spaces on each floor resulted in a difference of 491.2 seconds in evacuation time, from a maximum of 991.5 seconds to a minimum of 500.3 seconds. To ensure the safe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particularly vulnerable during emergencies, regulations 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elevators and arrangement of evacuation spaces on each floor based on the building's intended use ar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본문
Ⅲ. 결과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방안전연구 제6권 목차
- PyroSim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고등학교 기숙사의 ASET 분석
- 화재 위험지수(FRI) 산출 및 지역별 화재위험 분석
- 소방공무원 연금 수급 개시 연령 하향 조정 필요성 연구: 공평성 이론과 공공선택론을 중심으로
- 캠핑장 내 유형별(난방재료⋅텐트) 일산화탄소(CO) 발생 위험성 분석
- 형사사법 내 화재조사보고서⋅감정자료 활용과 제도 개선: 5대 화재사건 수사 판례 중심 실증 분석
- 구급대원 현장 도착 시 명백한 사망징후를 보인 환자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수준 분석
- 2025 의성 대형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별 지역 보건 및 대기 환경 피해 영향 분석
- 이태원 참사 이후 소방 대응과 국민 인식 변화: 언론 기사와 유튜브 댓글 비교 연구
- 원전 재난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의 대응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119 허위신고, 스와팅, 공중협박 범죄에 관한 비교법적 사례 연구
- 지역특성을 반영한 노인층 소방안전교육 활성화 방안: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와 부안군을 중심으로
- 패스파인더를 활용한 장애인복지관 피난안전성 분석: 대전시 동구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산불의 복사열유속이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개선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주수 실험을 통한 작동 신뢰성 향상 방안 연구
- AI 영상 분석을 활용한 화재원인 및 발화지점 추정 연구
- 한국형 증후군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국내외 감시체계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