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Firefighting Response and Public Perception after the Itaewon Disaster: A Comparative Study of Media and Social Media Discourses
- 발행기관
- 국립소방연구원
- 저자명
- 정성훈(Seong-Hoon Jeong) 김근현(Geun-Hyeon Kim)
- 간행물 정보
- 『소방안전연구』제6권, 135~1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대상으로 소방 대응에 대한 언론 보도와 시민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뉴스 기사와 유튜브 댓글 데이터를 수집하여 워드클라우드, TF-IDF, N그램, LDA 토픽모델링, 감성분석 등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뉴스 담론은 시간이 흐르며 초기의 책임 공방에서 추모와 특별법 제정 등 제도적 개선 논의로 이동하였다. 반면 유튜브 담론은 참사 직후 강한 분노와 불신이 중심이었으며, 시간이 지나도 긍정적 추모와 존경이 일부 나타났으나 부정적⋅감정적 표현이 지배적이었다. 결론적으로 언론은 제도적 안정과 정책 담론을, 시민은 감정적 불신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괴리를 보였다. 이는 향후 재난 대응에서 제도 개선과 더불어 국민과의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taewon disaster of October 29, 2022,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media coverage and public perceptions of firefighting responses. Data were collected from Naver News articles and YouTube comments, and analyzed using text-mining techniques such as word clouds, TF-IDF, n-gram analysis, LDA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news discourse evolved from initial responsibility disputes to commemorative narratives and legislative reforms. In contrast, YouTube discourse was dominated by anger and distrust immediately after the disaster. Although expressions of respect and mourning emerged over time, negative and emotional expressions remained prevalent. These findings highlight a persistent gap between institutional discourse emphasizing stability and reform and citizen discourse grounded in distrust and emot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disaster-response policies must combine institutional improvements with communication strategies to restore public trus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방안전연구 제6권 목차
- PyroSim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고등학교 기숙사의 ASET 분석
- 화재 위험지수(FRI) 산출 및 지역별 화재위험 분석
- 소방공무원 연금 수급 개시 연령 하향 조정 필요성 연구: 공평성 이론과 공공선택론을 중심으로
- 캠핑장 내 유형별(난방재료⋅텐트) 일산화탄소(CO) 발생 위험성 분석
- 형사사법 내 화재조사보고서⋅감정자료 활용과 제도 개선: 5대 화재사건 수사 판례 중심 실증 분석
- 구급대원 현장 도착 시 명백한 사망징후를 보인 환자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수준 분석
- 2025 의성 대형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별 지역 보건 및 대기 환경 피해 영향 분석
- 이태원 참사 이후 소방 대응과 국민 인식 변화: 언론 기사와 유튜브 댓글 비교 연구
- 원전 재난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의 대응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119 허위신고, 스와팅, 공중협박 범죄에 관한 비교법적 사례 연구
- 지역특성을 반영한 노인층 소방안전교육 활성화 방안: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와 부안군을 중심으로
- 패스파인더를 활용한 장애인복지관 피난안전성 분석: 대전시 동구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산불의 복사열유속이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개선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주수 실험을 통한 작동 신뢰성 향상 방안 연구
- AI 영상 분석을 활용한 화재원인 및 발화지점 추정 연구
- 한국형 증후군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국내외 감시체계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