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Dead-On-Ambulance Arrival Cases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 발행기관
- 국립소방연구원
- 저자명
- 권혜지(Hye-ji Kwon) 신영전(Young-jeon Shin)
- 간행물 정보
- 『소방안전연구』제6권, 97~11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령인구와 1인가구 증가 등의 사회 변화는 응급상황 발생 시 신고지연 가능성을 높인다. 이는 구급대원 도착 시점에 이미 명백한 사망징후(DOAA)를 보이는 환자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부산 지역의 DOAA 환자 현황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지역 특성을 반영한 응급의료체계 구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의 병원 밖 심정지 환자 5,671명을 대상으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산 지역에서 발생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중 DOAA 환자는 1,532명(27.0%)이었으며, 전체 인구 10만 명당 DOAA 환자 수는 45.5명이었고, 인구당 환자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부산 중구였다. 다수준 분석에서 60세 미만(OR=3.334), 평일 신고(OR=1.206), 구급차 배치가 많은 지역(OR=1.372)에서 DOAA 환자 발생 위험이 높았고, 남성(OR=0.875), 공공장소 발생(OR=0.487), 출퇴근 시간 외 신고(OR=0.865)의 경우 위험이 낮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DOAA 환자 수의 지역별 차이가 존재하며, DOAA 환자 발생에 사례수준과 지역수준 요인 모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aging society and increasing prevalence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led to delayed emergency reporting, resulting in an increased incidence of dead-on-ambulance-arrival (DOAA) cas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atus of DOAA patients in the Busan region and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occurrence,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medical system that reflects local characteristics. Multiple an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5,671 out-of-hospital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in Busan. Among the study population, 1,532 patients (27.0%) were classified as DOAA, corresponding to an incidence of 45.5 per 100,000 population, with Jung-gu District exhibiting the highest rate. Multilevel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DOAA risk was higher among individuals aged <60 years (odds ratio [OR] = 3.334), during weekday incidents (OR = 1.206), and in areas with greater ambulance deployment (OR = 1.372). Conversely, a lower risk was observed among males (OR = 0.875), incidents occurring in public places (OR = 0.487), and calls made outside rush hour (OR = 0.865). This study demonstrated regional disparities in DOAA incidence attributable to both individual- and area-level factor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establish community-specific early detection systems and strategically reallocate ambulance resources.
목차
Ⅰ. 서론
Ⅱ. 본문
Ⅲ.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방안전연구 제6권 목차
- PyroSim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고등학교 기숙사의 ASET 분석
- 화재 위험지수(FRI) 산출 및 지역별 화재위험 분석
- 소방공무원 연금 수급 개시 연령 하향 조정 필요성 연구: 공평성 이론과 공공선택론을 중심으로
- 캠핑장 내 유형별(난방재료⋅텐트) 일산화탄소(CO) 발생 위험성 분석
- 형사사법 내 화재조사보고서⋅감정자료 활용과 제도 개선: 5대 화재사건 수사 판례 중심 실증 분석
- 구급대원 현장 도착 시 명백한 사망징후를 보인 환자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수준 분석
- 2025 의성 대형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별 지역 보건 및 대기 환경 피해 영향 분석
- 이태원 참사 이후 소방 대응과 국민 인식 변화: 언론 기사와 유튜브 댓글 비교 연구
- 원전 재난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의 대응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119 허위신고, 스와팅, 공중협박 범죄에 관한 비교법적 사례 연구
- 지역특성을 반영한 노인층 소방안전교육 활성화 방안: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와 부안군을 중심으로
- 패스파인더를 활용한 장애인복지관 피난안전성 분석: 대전시 동구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산불의 복사열유속이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개선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주수 실험을 통한 작동 신뢰성 향상 방안 연구
- AI 영상 분석을 활용한 화재원인 및 발화지점 추정 연구
- 한국형 증후군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국내외 감시체계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