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temporary Transformations and Ambivalence of Intensive Parenting: A Study of Upper-Middle-Class Millennial Parent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김정환(Jung-Hwan Kim) 이선이(Suni Lee)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제37집 3호, 216~256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생) 중상층 부모들의 양육실천과 관련 생애경험을 가족사회학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이들의 양육실천을 라루의 집중적 양육방식 개념을 중심으로생애과정 관점과 연계하여 탐구한다. 이를 위해 교육열이 강한 수도권 신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밀레니얼 세대 중상층 부모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반영하여 자녀의 자율성과 행복, 개인적 성향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한국사회의 강력한 교육열과 중상층의 계급 재생산 압력으로 인해학업 성취와 미래의 성공에 대한 기대를 포기하지 못하는 양가적 태도를 보였다. 흥미롭게도이러한 집중적 양육방식은 부모 자신의 성장 지역과 유년기 양육 경험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분기하며 새롭게 전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린 시절 교육열이 강한 지역에서 성장한부모들은 자녀의 학업 성취를 강조하는 이전 세대의 양육방식을 계승하면서도 이를 개인주의적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교육열이 낮은 지역 출신 부모들은 체험 중심의집중적 양육방식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문화자본 축적을 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육방식의 형성과 지속에는 성장지역에서의 생애경험이 중요한 ‘동네효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 밀레니얼 세대 부모의 집중적 양육방식이 교육열, 개인주의적 가치관 그리고 계급 재생산 전략이 복합적으로 얽혀 나타나는 다층적 현상임을 밝혔다. 이는 한국의 가족 변화가 서구의 개인화 이론이나 기존의 교육열 논의로 온전히설명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s a family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parenting practices and related life experiences of upper-middle-class millennial parents (born in the 1980s). Specifically, it explores their parenting practices by connecting Lareau’s concept of intensive parenting with life course perspectiv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upper-middle-class millennial parents residing in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known for strong educational fervor.
The research participants exhibited ambivalent attitudes, emphasizing their children’s autonomy, happines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le reflecting the individualistic tendencie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Simultaneously, they were unable to abandon expectations fo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future success due to Korea’s strong educational fervor and upper-middle-class pressure for class reproduction. Interestingly, this intensive parenting was found to diverge into two distinct types and be newly appropriated based on parents’ own growth regions and childhood parenting experiences.
Parents who grew up in regions with strong educational fervor inherit previous generations’ parenting methods that emphasize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while reinterpreting them within an individualistic context. In contrast, parents from regions with relatively lower educational fervor pursue new forms of cultural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experience-centered intensive parenting approaches. The formation and persistence of these parenting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life experiences in their growth regions, functioning as important ‘neighborhood effect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intensive parenting practices of millennial parents in Korean society represent a multi-layered phenomenon where educational fervor, individualistic values, and class reproduction strategies are complexly intertwined. This suggests that changes in Korean family dynamics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Western individualization theories or traditional discussions of educational fervor alone.
목차
Ⅰ. 서론: 한국사회 부모의 양육, 그 양가성과 계층화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참여자와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밀레니얼 세대 집중적 양육방식의 딜레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에 관한 연구 동향
- 중년 부부의 관계 변형을 위한 정서 조율 과정 : 뇌신경과학 치료단계에 따른 사례 분석
-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 : 사회적 지원의 매개 효과
- 성별에 따른 아동기 일반 외상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의 어려움 및 대인관계 부적응의 이중매개효과
- 중년 성인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자기성장에 관한 연구 : 자기분화의 완전 매개효과와 배우자 지지의 조건부 조절효과
- 20대 미혼 청년이 인식하는 결혼의 의미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양육방식의 현재적 변용과 양가성: 밀레니얼 세대 중상층 부모 사례를 중심으로
- 노부모와 기혼자녀의 근거리 거주 일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족돌봄청년의 생애과업 수행 전략 : 재편과 단념의 경계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에 관한 연구 동향
- 중년 부부의 관계 변형을 위한 정서 조율 과정 : 뇌신경과학 치료단계에 따른 사례 분석
-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