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Smart Home Technology and Family Care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김수지(Soojee Kim) 백승찬(Seungchan Baek)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제37집 3호, 1~3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2015-2024)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 관련 연구 20편을 Arksey & O'Malley(2005)의 스코핑 리뷰 방법론으로 분석하여 기술이 가족 돌봄을 어떻게 재편하는지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가구 유형별로 기술 수용 양상이 차별화되었다. 청년 1인가구는 AI 스피커를 통한 정서적 자기돌봄을, 맞벌이가구는 원격 모니터링을 통한 확장된 돌봄을, 신중년가구는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한 능동적 건강 관리를, 고령가구는 안전 중심의 하이브리드 돌봄을 실천하였다. 둘째, 스마트홈 기술은 돌봄의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고 기술을능동적 돌봄 주체로 포함시키며 돌봄 관계를 수평화하는 등 가족 돌봄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하고 있었다. 셋째, 데이터 기반 친밀성, 정서적 의존의 양가성, 효율성과 현존감의 윤리적딜레마 등 새로운 돌봄 관계 양상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홈 기술이 가족 체계의 능동적 행위자로 기능하며 인간-기술 공존의 새로운 돌봄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기술을 포함한 확장된 가족학 이론과 가구 유형별 맞춤형 돌봄 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20 research articles on smart home technology and family care published between 2015-2024 using scoping review methodology to explore how technology restructures family caregiving. Results revealed three key findings. First, technology adoption patterns differed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utilized AI speakers for emotional self-care, dual-income families employed remote monitoring for extended care, new middle-aged households engaged in proactive health management through healthcare technologies, and elderly households practiced safety-centered hybrid care. Second, smart home technology fundamentally restructured family care by dissolving spatiotemporal boundaries, incorporating technology as active care agents, and horizontalizing care relationships. Third, new forms of care relationships emerged, including data-driven intimacy, ambivalent emotional dependency, and ethical dilemmas between efficiency and human presence.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mart home technology functions as an active agent within family systems, creating a new human-technology coexistent care ecosystem.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expanded family studies theories incorporating technology and customized care policies based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에 관한 연구 동향
- 중년 부부의 관계 변형을 위한 정서 조율 과정 : 뇌신경과학 치료단계에 따른 사례 분석
-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 : 사회적 지원의 매개 효과
- 성별에 따른 아동기 일반 외상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의 어려움 및 대인관계 부적응의 이중매개효과
- 중년 성인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자기성장에 관한 연구 : 자기분화의 완전 매개효과와 배우자 지지의 조건부 조절효과
- 20대 미혼 청년이 인식하는 결혼의 의미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양육방식의 현재적 변용과 양가성: 밀레니얼 세대 중상층 부모 사례를 중심으로
- 노부모와 기혼자녀의 근거리 거주 일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족돌봄청년의 생애과업 수행 전략 : 재편과 단념의 경계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에 관한 연구 동향
- 중년 부부의 관계 변형을 위한 정서 조율 과정 : 뇌신경과학 치료단계에 따른 사례 분석
-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