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이용수  0

영문명
EEG Changes in Families Experiencing Neuroscience-Based Family Play Therapy: Utilizing chat-GPT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서정은(Jung-Eun Seo) 전영주(Young-Ju Chun)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제37집 3호, 67~9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를 탐색하고,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의 놀이 매체 해석이 실제 뇌파(EEG) 반응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네 가족, 총 15명을 대상으로 8회기의 가족놀이치료를 실시하고, 각 회기 전후로 참여 가족의 뇌파(EEG)를 반복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가족원별 및 매체별 뇌파(EEG) 지표(Theta, Alpha, L/M/H-Beta, Gamma)의 변화량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정서적 몰입, 인지 활성화, 통합 기능 등의 신경과학적 반응을 해석하였다. 또한 사전 단계에서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을 통해 아홉 가지 놀이 매체의 정서ㆍ관계ㆍ인지 기능을 이론적으로 분류하고, 신경과학 이론에 근거한 뇌파(EEG) 반응 예측을구조화하였다. 총 5단계의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 절차를 거쳐 생성된 예측값을실제 측정값과 비교하였고, 전체 평균 일치율은 약 56.0%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자녀는정서적 몰입과 인지 활성화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반면, 부는 반복적으로 정서-인지 통합 기능저하와 정서적 소진 반응을 보였다. 놀이 매체별로는 정서 자극이 강한 매체에서 전반적인 정서적 피로와 반응 저하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뇌파(EEG) 분석을 통해 가족놀이치료의 신경과학적 탐색적 증거를 제시하였으며,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기반 해석이 치료 설계의보조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neuroscience-based family play therapy on the EEG of family members and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chat-GPT’s interpretation of play media aligned with actual EEG responses. Four families (15 participants, including parents and children) participated in eight sessions of family play therapy, with EEG measured repeatedly before and after each session.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hanges in EEG indicators such as Theta, Alpha, L/M/H-Beta, Gamma by family member and play media, focusing on neuroscientific responses such as emotional engagement, cognitive activation, and integrative functioning. In the preliminary stage, nine types of play media were theoretically classified by emotional, relational, and cognitive function using chat-GPT. Based on neuroscientific theories, EEG response predictions were generated through a five-step chat-GPT analysis procedure and tentatively compared to actual measurements. The average alignment rate was approximately 56.0%. Th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tended to maintained emotional and cognitive stability, while fathers showed repeated decreases in emotional-cognitive integration and signs of emotional exhaustion. Play media with strong emotional stimuli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emotional fatigue and reduced responsiveness. Overall, this exploratory study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for the neuroscientific effects of family play therapy through EEG analysis and highlight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chat-GPT as a supportive tool in therapy desig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정은(Jung-Eun Seo),전영주(Young-Ju Chun). (2025).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가족과 문화, 37 (3), 67-96

MLA

서정은(Jung-Eun Seo),전영주(Young-Ju Chun).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가족과 문화, 37.3(2025): 67-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