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Mothers with Infants : The Medit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조윤주(Yoon-Joo Cho)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제37집 3호, 97~1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사회적 지원을 매개 변수로 설정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한국영유아교육ㆍ보육패널』(2024) 자료 중 전국에 거주하는 아동과 어머니 2,77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중다회귀로 분석되었으며, 매개 효과는 Baron과Kenny(1986), Sobel(1982)의 절차와 검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은 정적 상관관계였으나, 사회적 지원과 어머니의스마트폰 과의존은 부적 상관관계였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설명하는 유의한변수는 자녀 월령, 어머니 연령,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었으며, 이 중 어머니양육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즉, 자녀가 어릴수록, 어머니가 젊을수록,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사회적 지원이 적을수록,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다고 할수 있다. 셋째, 사회적 지원은 직접 효과 외에 이를 통해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감소되는 간접 효과도 있어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 스트레스 경감과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To achieve this, data from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panel(2024),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A total of 2,775 children, aged 3∼12 months and their moth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Baron and Kenny’s procedures for testing mediation hypothesis, and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Second, the variables that explained infant mo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included child age, mother age,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When child was younger, mother was younger, mother perceived parenting stress more, and was given social support less, mother was prone to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these variables,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Thir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can alleviate infa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posed regarding strategies to reduce infa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o prev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에 관한 연구 동향
- 중년 부부의 관계 변형을 위한 정서 조율 과정 : 뇌신경과학 치료단계에 따른 사례 분석
-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 : 사회적 지원의 매개 효과
- 성별에 따른 아동기 일반 외상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의 어려움 및 대인관계 부적응의 이중매개효과
- 중년 성인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자기성장에 관한 연구 : 자기분화의 완전 매개효과와 배우자 지지의 조건부 조절효과
- 20대 미혼 청년이 인식하는 결혼의 의미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양육방식의 현재적 변용과 양가성: 밀레니얼 세대 중상층 부모 사례를 중심으로
- 노부모와 기혼자녀의 근거리 거주 일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족돌봄청년의 생애과업 수행 전략 : 재편과 단념의 경계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에 관한 연구 동향
- 중년 부부의 관계 변형을 위한 정서 조율 과정 : 뇌신경과학 치료단계에 따른 사례 분석
-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