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motional Regulation Process for Transforming Midlife Couples’ Relationships: Case Analysis Based on Brain Neuroscience Treatment Stage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최지원(Jiwon Choi)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제37집 3호, 34~66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 부부의 관계적 갈등을 뇌신경과학의 5가지 치료 원칙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중년 부부치료 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서 조절과 상호작용 변화의 신경기반을 탐색하고자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결혼 20년차의 중년 부부로, 반복되는 정서적 단절과 회피, 비난의 악순환을 호소하며 상담을 의뢰하였다. 본 사례는 뇌신경과학 5원칙 부부치료의 단계적 개입을기반으로 하되, 각 치료 장면에서 관찰된 정서 반응, 신체 감각, 상호작용 패턴을 뇌신경과학적 원칙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기에는 자율신경계 기반의 방어적 감정 반응과 생존회로가 주로 활성화되었으며, 반복 회기를 통해 감정과 신체 감각의 통합, 자동화된 반응 회로의 자각 및 재조직, 애착 서사의 재구성, 자기 정체성의 변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특히 신체 감각 기반의 정서 표현, 과거 애착 경험의 분리 및 재구조화, 관계 내 감정 조율 경험은 부부의 상호조절 및 회복적 관계 형성에 핵심적인 기제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부부치료에서 뇌신경과학적 원칙과 통합될 때, 부부 간 감정조절과 상호작용의 변화를 보다 입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신경과학 기반 부부상담 개입의 이론적ㆍ임상적 확장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neural basi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interaction changes that occur during middle-aged couple therapy by analyzing relational conflicts in middle-aged couples according to five therapeutic principles of neuroscience. The participants were middle-aged couples who had been married for 20 years and sought counseling due to recurring emotional disconnection, avoidance, and a cycle of blame. This case study was based on the five-principle neuroscience-based couple therapy, with emotional responses, bodily sensations, and interaction patterns observed in each therapy session analyzed according to neuroscience princip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itially, autonomic nervous system-based defensive emotional responses and survival circuits were primarily activated. Through repeated sessions, a sequential process was observed, including the integration of emotions and bodily sensations, the awareness and reorganization of automated response circuits, the reconstruction of attachment narratives, and the transformation of self-identity. In particular, emotion expression based on bodily sensations, the separation and restructuring of past attachment experiences, and experiences of emotional regulation within relationships acted as core mechanisms in facilitating mutual regulation and the formation of rest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coupl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hen brain neuroscience principles are integrated into middle-aged couple therapy, chang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couples can be explained more comprehensively, and suggests theoretical and clinical extensions for neuroscience-based couple counseling intervention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에 관한 연구 동향
- 중년 부부의 관계 변형을 위한 정서 조율 과정 : 뇌신경과학 치료단계에 따른 사례 분석
-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 영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 : 사회적 지원의 매개 효과
- 성별에 따른 아동기 일반 외상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의 어려움 및 대인관계 부적응의 이중매개효과
- 중년 성인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자기성장에 관한 연구 : 자기분화의 완전 매개효과와 배우자 지지의 조건부 조절효과
- 20대 미혼 청년이 인식하는 결혼의 의미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집중적 양육방식의 현재적 변용과 양가성: 밀레니얼 세대 중상층 부모 사례를 중심으로
- 노부모와 기혼자녀의 근거리 거주 일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족돌봄청년의 생애과업 수행 전략 : 재편과 단념의 경계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에 관한 연구 동향
- 중년 부부의 관계 변형을 위한 정서 조율 과정 : 뇌신경과학 치료단계에 따른 사례 분석
-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