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성의 형이상학

이용수  0

영문명
The Metaphysics of Buddha-Nature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홍창성(Chang-Seong HO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84호, 367~39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성의 전통적 개념은 극복할 수 없는 형이상학적 문제들에 직면한다. 필자는 그런 개념적 어려움을 극복하면서도 불성의 개념을 여전히 불교 수행과 통합하기 위해불성을 2차 지시어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을 제안한다. 불성은 고정불변의 자성을 가진 실체거나 실체가 아니다. 불성이 실체면 집합체거나 단순체이다. 집합체면 기체와 속성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전체가 되어 실재하지않는 허구다. 단순체면 기체거나 단순 속성이다. 기체의 존재는 철학적으로 인정하기 어렵다. 불성이 단순 속성이면 신체의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특정할 수 없다. 설혹그런 시공간이 존재하더라도 불성은 계속되는 시공의 부분들이 모인 4차원적 전체를 형성하여 허구가 된다. 그렇다고 불성이 찰나마다 생멸한다고 보면 고정불변하다는 불성의 정의에 어긋난다. 불성이 공과 동일하다면 이런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까? 그런데 불성이 실제로 공과 동일할까? 동일하거나 별개라면 둘 다 실재하는 독립적 존재, 즉 실체여야 한다. 그러나 공을 실체로 보면 패러독스에 빠진다. 공에 대한 해석을 달리하여 불성에 자성이 비어있다고 하면 어떨까? 그런데 불성이 공하다면 불성일 수 없다. 또 불성이 공하지 않다면 변화를 가져올 수 없어 불성에 의한 깨달음이 불가능하여 불성이 아니게된다. 공하든 공하지 않든, 불성은 그 존재가 부정된다. 한편, 실체로서의 불성은 조건에 의해 성립할 수 없고 스스로부터 나올 수도 없다. 무시 이래로 존재해 왔다고 볼 수도 없다. 불성은 실체가 아니다. 불성이 실재하지 않아도 불성은 가명 또는 지시어의 형태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있다.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면 펜인데, 우리는 색깔과 재질, 모양, 크기, 그리고 무게가 다양한 펜을 각각 편리하게 모두 “펜”이라는 같은 이름으로 부르며 사용한다. 물리적으로 다른 기계장치도 그것이 화학에너지를 물리에너지로 변환시키면하나하나 모두 “엔진”으로 지칭된다. 보통명사 “펜”과 “엔진” 같은 것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경우마다 다른 사물을 가리키는 편리한 지시어다. 이때 존재하는 것은구체적인 펜이나 엔진이지 플라톤의 이데아 같은 추상적 대상이 아니다. 어느 한 유정물이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에서 깨달음을 얻기에 가장 적합한 심신의특정 상태가 존재할 것이다. 우리는 “불성”이라는 단어를 이렇게 경우마다 다른, 깨달음을 이루기에 적절한 몸과 마음의 상태를 그때그때마다 편리하게 가리키는 지시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지칭되는 불성은 모든 유정물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자성을 가진 실체일 수 없다. 각각의 유정물에 따라 그 상태가 다를 것이고, 또 한 유정물에서도 시간과 장소에 따라 그 상태가 끊임없이 변할 것이기 때문이다. 가명으로 이해된 불성은 실체로서의 불성이 가진 모든 형이상학적 문제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우리 일상과 수행의 현장에 두루 존재한다.

영문 초록

The traditional concept of Buddha-Nature faces insurmountable metaphysical problems. I propose a second-order designator approach to Buddha-Nature to avoid its conceptual difficulties and to still incorporate its concept into Buddhist practices. Buddha-Nature, which supposedly has an immutable self-nature, is either a substance or not. If Buddha-Nature is a substance, it is either a composite or a simple. If it is a composite, Buddha-Nature is a whole made of two parts, substrate and property. Since a whole is not real, Buddha-Nature is then an unreal fictional entity. If Buddha- Nature is a simple, it is either a substrate or a simple property. The existence of substrates is highly controversial in philosophy. If Buddha-Nature is a simple property, it cannot be specifically located anywhere within the body of a sentient being. Even if its spatiotemporal coordinate could somehow be identified, Buddha-Nature would only form a four-dimensional whole and thus become a fiction. Buddha-Nature should not be said to come into and go out of existence every instant, either, because this possibility contradicts the supposed immutability of Buddha-Nature. Can these difficulties be avoided if Buddha-Nature is to be identified with emptiness? Is Buddha-Nature in fact identical with emptiness? If they are either identical with or distinct from each other, both must be real and independent existents. They should be substances. The hypostatization of emptiness, however, results in a paradox. One can interpret the concept of emptiness in such a way that it only means that things are empty of self-nature. But if Buddha-Nature is devoid of self-nature, it cannot be Buddha-Nature. If Buddha-Nature is not empty, however, it cannot bring about any change. In that case, it cannot make enlightenment realized and hence cannot qualify as Buddha-Nature. Empty or not empty, the existence of Buddha-Nature is denied. On the other hand, Buddha-Nature is not brought about by conditions. Nor can it arise out of itself. It cannot be said to exist from beginningless time. Buddha-Nature is not a substance. Although Buddha-Nature is not real, it can be used conveniently as a fiction or a designator. We name things pens regardless of their colors, material bases, shapes, sizes, and weights as long as we can use them to write or draw. The entire variety of machinery and devices are all engines if they convert chemical energy into kinetic energy. Such common nouns as “pen” and “engine” are convenient designators each of which refers to a different object, on a given occasion, that performs its functional role as a pen or an engine. What exists in each of these occasions is a particular pen or engine, not an abstract entity such as Plato’s Forms. There must exist a particular mental and/or physical state that is optimal for a given sentient being to achieve enlightenment at a specific location and time. We can use the term “Buddha-Nature” as a convenient designator to refer to such a mental and/or physical state that best suits a given Buddhist practitioner’s enlightenment in each case. Buddha-Nature, referred to this way, cannot be a substance that has a self-nature common to all sentient beings. The optimal psychophysical state is different in each sentient being, and the state changes constantly even in one sentient being over time. Buddha-Nature, understood as a fictional entity or a convenient designator, is free of the metaphysical problems that a substantive view of Buddha- Nature faces. Buddha-Nature still exists everywhere in our ordinary lives and Buddhist practices.

목차

I. 불성은 실체로서 실재하는가?
II. 불성의 개념이 가지는 논리적 문제
III. 불성과 연기 그리고 공(空)
IV. 편리한 도구로서의 2차 지시어
V. 2차 지시어로서의 불성
참고 문헌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창성(Chang-Seong HONG). (2025).불성의 형이상학. 불교학연구, (), 367-397

MLA

홍창성(Chang-Seong HONG). "불성의 형이상학." 불교학연구, (2025): 367-3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