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대 위의 꼭두각시를 보라” - 임제의 삼구·삼현·삼요와 동산의 삼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Look at the puppets on the stage”: A Focus on Linji’s Three Phrases, Three Marvelous, Three Essentials and Dongshan’s Three Ways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허진(Jin HEU) 박대용(Dae-Yong PAR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84호, 199~22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시대에 출현한 임제 의현(?~867)과 동산 양개(807~869)는 모두 조사선의 기틀을확립하였지만 그들이 펼친 방편에는 차이점이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즉 임제는삼구·삼현·삼요를 주장하였으며, 동산은 삼로를 강조하였다. 따라서 논자는 본 연구에서 이들이 주장한 가풍의 상통점과 상이점을 구체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선사들의 수행 과정과 돈오 방식에 따라 그들의 점수과정과 가풍, 제접법과가르침 등은 다양한 형식과 방편으로 나타났다. 임제는 할과 같은 과격한 형식과 자유로운 인간상을 강조하였고 동산은 내면을 관조하는 수행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임제의 삼구·삼현·삼요는 직관적이고 즉각적인 깨달음을 중시하며, 언어적한계를 넘어서는 수행의 과정을 설명한다. 이것은 언어 한계를 초월한 수행과 깨달음을 성취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동산의 삼로에서 조도는 새가 하늘을 나는 것처럼 모든 속박을 벗어난 해탈을 나타내며, 현로는 논리와 언어를 넘어선 깨달음을 표현하고, 전수는 깨달음을 체험한 후 이를 외부로 펼치는 것을 의미한다. 동산은 삼로를 바탕으로 내적 성찰의 가르침을 전개하였고 점진적 수행을 통해 일상의 삶속에서 실천을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임제의 삼구·삼현·삼요와 동산의 삼로를 비교·검토함으로써그들의 선사상이 어떻게 구체화되었으며, 각기 다른 수행 방편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학인들을 제접하였는지를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초록

Linji (?–867) and Dongshan (807–869), who lived during the same period, both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Josaseon tradition, yet it is well known that their methods differed. Linji emphasized the Three Phrases, Three Marvelous, and Three Essentials, while Dongshan stressed the Three Paths. This study therefore compares and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family styles they advocated, leading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erms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methods, the Seon masters expressed their approaches through distinctive styles, scoring systems, student cultivation methods, and teachings. Linji emphasized the radical freedom and unbounded human image of Hal, while Dongshan advanced a method centered on inner reflection and contemplation of the self. Second, Linji’s Three Phrases highlighted intuitive and immediate enlightenment, emphasizing practice that transcends the limits of language. In contrast, Dongshan’s Samro developed a gradual approach. Within Samro, Jodo symbolizes liberation from all bonds, like a bird flying freely in the sky; Hyeonro expresses enlightenment that surpasses logic and language; and Jeonsu signifies experiencing enlightenment and then spreading it outward. Dongshan’s teachings of internal reflection based on Samro stressed putting enlightenment into daily practice through gradual cultivation. In conclusion, by comparing Linji’s Three Phrases with Dongshan’s Three Paths, this study achieves a more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how their Seon ideologies were realized and how they unified students through differing methods of practice.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조사선의 돈오와 가풍 – 임제종과 조동종
III. 임제와 동산 - 삼구·삼현·삼요와 삼로
IV. 나오는 말
참고 문헌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진(Jin HEU),박대용(Dae-Yong PARK). (2025).“무대 위의 꼭두각시를 보라” - 임제의 삼구·삼현·삼요와 동산의 삼로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 199-227

MLA

허진(Jin HEU),박대용(Dae-Yong PARK). "“무대 위의 꼭두각시를 보라” - 임제의 삼구·삼현·삼요와 동산의 삼로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2025): 199-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