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현장(玄奘)의 학문적 위상

이용수  0

영문명
Xuanzang’s Scholarly Status as Reflected in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Commentar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백진순(Jin-Soon BAE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84호, 229~2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장의 중요한 학문적 업적 중 하나는, 『유가론』전권의 번역과 강설을 통해서 『유가론』뿐만 아니라 그것의 한 부분인 논리학[因明] 연구의 열풍을 선도한 것이다. 이러한 현장의 업적은 제1세대 『유가론』 연구자들의 전언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전해진다. 본고에서는 선대의 연구 성과를 종합한 『유가론기』에 의거해서 현장의 학문적 위상을 추측해 보았다. 특히 「섭결택분」에서 두 개의 인용문을 택해서 자세히 분석해보았다. 첫째는 오종성(五種性)의 학설이다. 이것은 무종성(無種性)을 상정하기 때문에 당대 학승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되었다. 이에 대해 현장은 학문적 태도를 유지하면서 어떤 화두를 남겨놓았다. 그에 따르면, 『유가론』의 ‘끝내 열반의 장애를 가진자’란 『능가경』의 ‘보살천제(菩薩闡提)’처럼 실은 종성이 있는 자[有性]임에도 끝내열반에 들지 않는 자일 수도 있고, 혹은 『대장엄론』의 ‘필경무열반법(畢竟無涅槃法)’ 처럼 항상 종성이 없는 자[無性]이므로 끝내 성불하지 못하는 자일 수도 있다. 이것은후대에 무종성의 문제를 논할 때 자주 거론되는 단골 소재가 되었다. 둘째는 현장의 유식비량(唯識比量)이다. 『유가론기』에 따르면, 아뢰야식에 의거하는 유식의 교설 안에서는 그것은 제한적 의미만 갖는다. 그것은 특히 ‘아뢰야식의 존재’를 우회적으로 성립시키는 어떤 논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 논제에 따르면, 안식(眼識) 등이 색(色) 등의 경계를 요별하는 작용을 일으켰다면, 그와 동시에 아뢰야식과 말나식은 기세계·신체 및 ‘아’를 요별하는 작용을 일으킨다. 이와 관련해서, ‘일체법은 식과 분리되지 않음’을 성립시키는 논증을 시도한다. 이중, 소승을 대론자로 하여, ‘색을 요별하는 안식이 일어났을 때 그 색은 안식과 분리되지 않음’을 성립시킨 것이 바로 현장의 유식비량이다.

영문 초록

One of Xuanzang’s most significant scholarly achievements was his complete translation and exposition of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Through this work, he not only deepened understanding of the text but also stimulated scholarly interest in Buddhist logic (Hetuvidyā), a branch of Yogācāra philosophy. This influence is known primarily through indirect accounts transmitted by the first-generation scholars of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This paper examines Xuanzang’s intellectual standing by analyzing Dunlun’s Yogācārabhūmi Commentary (瑜伽論記), which consolidates earlier scholarly interpretation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wo representative examples from the section “Saṅgraha-prayukta-vibhāga” (攝決擇分), revealing Xuanzang’s methodological depth. The first concerns his interpretation of the Five Types of Natures. The concept of “no-nature”—which posits the existence of beings without the potential for enlightenment—provoked prolonged controversy among Tang dynasty monks. Xuanzang offered two distinct explanations. According to him, “no-nature” may refer either to a bodhisattva who possesses the potential for Buddhahood but chooses not to enter nirvāṇa in order to save sentient beings, as described in the Laṅkāvatāra Sūtra; or to an individual who inherently lacks the capacity for nirvāṇa, as explained in the Mahāyāna-sūtrālaṅkāra, and thus cannot attain Buddhahood even under favorable conditions. This interpretation has continued to shape subsequent Buddhist discourse on “no-nature.” The second example is Xuanzang’s application of vijñaptimātra inference. As presented in the Commentary, this inference occupies a circumscribed role within Yogācāra teachings grounded in ālaya-vijñāna. Xuanzang’s argument indirectly affirms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through an epistemological proposition: when discriminative cognition of a visual object arises, ālaya-vijñāna and manas simultaneously generate awareness of the world of vessels, the body, and the self. This demonstrates that all dharmas are inseparable from consciousness. In particular, Xuanzang challenges the Hīnayāna position by asserting that a visual object perceived by visual consciousness cannot exist independently of that consciousness —thereby firmly establishing his vijñaptimātra inference.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예비적 논의
III. 현장에 의해 촉발된 주요 논쟁들
IV. 맺는말
참고 문헌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진순(Jin-Soon BAEK). (2025).『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현장(玄奘)의 학문적 위상. 불교학연구, (), 229-258

MLA

백진순(Jin-Soon BAEK). "『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현장(玄奘)의 학문적 위상." 불교학연구, (2025): 229-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