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Historical Buddha Revisited: Interpreting Early Buddhist Texts as an Integrated Whole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김한상(Han-Sang KIM)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84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초기 불교 문헌에서 그려지는 붓다의 모습을 근대적 편견을 섞지 않고 텍스트에 입각한 형태 그대로 파악함으로써 이른바 ‘역사적 붓다의 신격화설’을 반박하고 붓다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초기 불교문헌을 일관된 전체로 분석하여 개별 경에만 집중하기보다는 그 통일된 의미와 상호연관성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초기 불교인들은 처음부터 붓다의 인간적 본성과 대조되는 붓다의 초인적 본성에 초점을 맞추었음이 분명하다.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후에는 더 이상 ‘인간’이라고 불릴 수 없었는데, 이는 붓다가 자신의인간성을 완성하고 초월했기 때문이다. 붓다가 자신을 가리킬 때 사용했던 ‘여래(Tathāgata)’라는 용어가 인간의 한계를 초월하는 붓다의 초월성을 함축한다는 사실은 이를 잘 보여준다. 붓다의 이러한 신비로운 본질은 붓다가 법을 몸으로 지닌 자(dhamma-kāya)이자, ‘법이 된 자(dhamma-bhūta)’로 규정될 수 있다는 성전 구절들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붓다는 처음부터 초인적인 존재로 인식되었음을 밝히고, 역사적 붓다의 신격화 논의에 새로운 해석의 지평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ute the so-called “deification theory of the Buddha” and to presen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Buddha by examining his image as portrayed in early Buddhist literature, free from modern biases. Instead of analyzing isolated suttas, this study approaches the early Buddhist texts as a unified whole in order to explore their overarching meaning and internal coherence. From this perspective, it becomes evident that early Buddhists emphasized the Buddha’s superhuman nature from the beginning, rather than focusing primarily on his human qualities. Following his enlightenment, the Buddha could no longer be classified as merely “human,” having perfected and transcended his humanity. This transcendence is reflected in the term “Tathāgata,” which the Buddha used to refer to himself, indicating that he surpassed ordinary human limitations. His mystical nature is further affirmed by scriptural references describing him as the one who embodies the dharma (dhamma-kāya) and as “the one who has become the dharma” (dhamma-bhūta).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demonstrates that the Buddha was perceived from the outset as a superhuman being, offering a new interpretive horizon for discussions on his deification.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붓다의 두 측면
III. 여래(如來, tathāgata)
IV. 법을 몸으로 지닌(dhamma-kāya)
V. 나가는 말
참고 문헌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적 붓다의 본성에 대한 재고찰 - 초기 불교 문헌을 완성된 전체로 파악하는 접근법에 입각하여
- 『능가경』은 여래장과 알라야식을 동일시했는가?
- 선사상에 나타난 초목불성의 전개와 함의
- 원효의 상위비량을 통한 법상유식 무성론 비판 연구 - 규기의 무성유정 인명논증을 중심으로
- 불교 언어철학의 전개 - 초기불교에서 『중론』까지
- 물리적 대상만이 공간을 점유하는가? - 유가행 유식학파 철학에서 공간성의 문제 재검토
- 『대승기신론』의 물과 바람과 파도의 비유 연구
- “무대 위의 꼭두각시를 보라” - 임제의 삼구·삼현·삼요와 동산의 삼로를 중심으로
- 『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현장(玄奘)의 학문적 위상
- 고려 사경(寫經), 젠더로 읽다 - 『묘법연화경』사경으로 본 여성의 성불과 좌절
- 초기 유가사 수행의 현대적 해석을 통한 트라우마 치유 가능성 모색 - 『수행도지경』을 중심으로
- 인성교육 주체 간 신뢰회복의 중요성 - 『대승기신론』의 수행체계를 중심으로
- 불성의 형이상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역사적 붓다의 본성에 대한 재고찰 - 초기 불교 문헌을 완성된 전체로 파악하는 접근법에 입각하여
- 『능가경』은 여래장과 알라야식을 동일시했는가?
- 선사상에 나타난 초목불성의 전개와 함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