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태미학의 관계 개념을 통한 미술교육의 재구성

이용수  0

영문명
Reframing Art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Relation in Ecological Aesthetic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하영유(Yeong Yu Ha)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9券 3號, 302~331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 위기와 생태계 파괴라는 동시대적 위기 속에서 미술교육이 수행해야 할 생태전환적 역할을 탐구하기 위해 생태미학(ecological aesthetics)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전환을 시도하였다. 특히 ‘관계(relations)’와 ‘얽힘(entanglement)’의개념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론 검토를 통해 미술교육을 단순한 표현·결과물 생산의장이 아니라, 인간·비인간·재료·장소가 서로 얽혀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관계적장으로 재구성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생태미술교육 관련연구를 문헌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유아-초등-중등-고등으로 이어지는 발달 단계별 적용 방향을 제안하였다. 유아기에는 감각적 몰입과물질적 얽힘을 통한 경험 확장, 초등 단계에서는 장소성 탐구와 환경 서사 구성, 중학교에서는 비판적 생태감수성의 형성과 사회적 쟁점 탐구, 고등학교 단계에서는복합적 사고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창작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생태전환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강화하고, 발달 단계별 연계성을 지닌 실천적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감각성·재료성·비인간 주체성의 차원을 통합적으로 조망함으로써 미술교육이 생태 시민성을 함양하는 교육적 장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art education in response to contemporary cris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ecological degradation. Grounded in ecological aesthetics, it focuses on the concepts of relations and entanglement, emphasizing art education as a relational field where humans, non-humans, materials, and places intertwine to generate meaning. Drawing on Berleant’s aesthetics of engagement, Ingold’s relational ontology, and place-based eco-art education,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move beyond product-oriented approaches toward relational practices.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informed stage-specific applications: sensory immersion and material entanglement in early childhood, place-based inquiry and environmental storytelling in elementary education, critical ecological sensitivity in middle school, and integrative creative practices using digital media in high school. By synthesizing these approaches, the study strengthen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co-transformative education and offers practical guidance for continuity across developmental stages. Ultimately, it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art education to foster ecological citizenship by integrating sensory experience, materiality, and non-human agenc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생태미학 이론과 미술교육 연구 동향
Ⅲ. 생태미학과 ‘관계’ 개념
Ⅳ. 생태미학적 관계 개념에 기반한 미술교육의 적용
Ⅴ. 생태전환 교육의 발달 단계별 미술교육 적용 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영유(Yeong Yu Ha). (2025).생태미학의 관계 개념을 통한 미술교육의 재구성. 미술교육논총, 39 (3), 302-331

MLA

하영유(Yeong Yu Ha). "생태미학의 관계 개념을 통한 미술교육의 재구성." 미술교육논총, 39.3(2025): 302-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