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Metaverse-Based Art Education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돈(Sang Dorn Park) 이재은(Jae Eun Lee) 이소현(So Hyun L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3號, 143~17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활용 수업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 프로그램은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메타버스 가상공간 체험과 감상, 전시장 제작, 전시장에서의 감상 활동을 연계하여 개발하였다. 이후에는 중학교 2개 학급, 총 45명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는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반영하여 메타버스 전시장의 완성도를높이고자 하였다. 이후에는 미술과 메타버스 활용 수업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달성도와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에서미술 학습에 대한 효능감, 학습에서의 실재감, 미술 수업에 대한 학습 흥미 및 동기, 학습 몰입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목표 달성에 대한 효과성 분석 결과에서는 수업에 참여한 45명의 학생 중 41명이학습 목표를 달성하였다. 면담을 통해서는 메타버스가 미술 수업에 대한 몰입도를높이며, 수업 참여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의견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가 미술과 교수·학습 상황에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학습 목표 달성에 기여할수 있는 매체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metaversebased instructional program in art education.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onnect virtual space experiences, exhibition creat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to achieve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It was implemented with 45 middle school students, and usability feedback was incorpora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etaverse exhibition hall. To assess its effectivenes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tudents’ self-efficacy, sense of presence, interest,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terms of learning outcomes, 41 of the 45 students successfully achieved the intended goals. Interview findings further confirmed that the metaverse enhanced students’ immersion and active participation in art classes. Overall,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metaverse can serve as an effective medium that organically support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art education and contributes to the attainment of learning object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술과 메타버스 활용 수업
Ⅳ. 미술과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효과성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 온라인 VTS 수업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의 대화 및 글쓰기에 나타난 비판적 사고력 변화 탐구
- 미술 교과서 작품 정보 표기에 관한 연구
- 미술과 메타버스 활용 수업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미술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GAI) 활용의 교육학적 담론-창의성, 윤리 그리고 실천적 과제
- 도심 속 생태공원 자연 드로잉을 통한 성인 학습자의 자연연결성 탐구
- 미술교육에서 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연구
- 미술 수업에서의 TPACK-E 모형 제안
- 생태미학의 관계 개념을 통한 미술교육의 재구성
- 당신의 ‘인생작’은 무엇입니까? - 대학생 예술 경험의 인지 정서적 특성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