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Notation Methods of Artwork Information in Art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돈(Sang Dorn Park) 김하영(Ha Young Kim)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3號, 104~142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정보표기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국내외 미술관이나 박물관, 작가 누리집 등의 사례와비교해 미술 교과서에 적합한 작품 표기 방식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교과서 내에서는 동일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작가명, 작품명, 재료, 크기, 제작연도 등의 표기 방식이 상이한 경우가 있었으며, 특히 평면 작품의 경우 ‘바탕재에재료’와 ‘바탕재와 재료’ 방식이 혼재하고, 크기 표기 또한 ‘세로×가로’와 ‘가로× 세로’가 병용되는 등 일관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디지털 이미지, 영상 작품, 인공지능 생성 이미지 등의 시각 자료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표준화된 표기 지침이없어 해당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작품 정보 제공이 제한되는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일부 교과서에서는 원작을 훼손하거나 변형하여 제시하는사례도 발견되어 작품 감상과 이해를 저해할 우려가 있었다. 반면 미술관·박물관의표기 방식은 재료, 기법, 설치 환경, 출력 방식, 상영 시간 등 보다 상세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감상자의 작품 이해를 지원하고 있었다. 이에 미술 교과서의작품 정보 표기가 단순한 보조 자료가 아닌, 학습자의 작품 이해와 감상 경험을 심화시키는 핵심 요소임을 인식하고, 이 같은 작용을 도모할 수 있는 작품 정보 표기 기준마련을 위한 미술교육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artwork labeling practices in art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and explores appropriate standards through comparison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museum cases. Findings indicate inconsistencies in labeling artist names, titles, media, dimensions, and production years across textbooks. For two-dimensional works, variations such as “medium on support” versus “support and medium,” and “height × width” versus “width × height” were observed. Emerging visual materials—including digital images, video works, and AI-generated images—also lacked standardized guidelines, limiting learners’ understanding. Some textbooks presented altered or distorted reproductions, potentially hindering appreciation. In contrast, museums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materials, techniques, environments, and formats that support deeper engagement. The study emphasizes that artwork labeling in textbooks should function as a core pedagogical element, underscoring the need for standardized criteria to ensure consistency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작품 정보 표기에 대한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 온라인 VTS 수업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의 대화 및 글쓰기에 나타난 비판적 사고력 변화 탐구
- 미술 교과서 작품 정보 표기에 관한 연구
- 미술과 메타버스 활용 수업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미술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GAI) 활용의 교육학적 담론-창의성, 윤리 그리고 실천적 과제
- 도심 속 생태공원 자연 드로잉을 통한 성인 학습자의 자연연결성 탐구
- 미술교육에서 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연구
- 미술 수업에서의 TPACK-E 모형 제안
- 생태미학의 관계 개념을 통한 미술교육의 재구성
- 당신의 ‘인생작’은 무엇입니까? - 대학생 예술 경험의 인지 정서적 특성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