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 수업에서의 TPACK-E 모형 제안

이용수  0

영문명
Proposal of the TPACK-E Model in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양주(Yang Joo Kim)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9券 3號, 249~27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이론의 기능주의적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상호작용과 존재론적 층위를중심으로 재구성한 TPACK-E 이론을 제안한다. TPACK-E는 기술, 교수법, 내용의통합적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수업 장면에서 출현하는 감정, 몸의 반응, 기술의작동과 같은 실재를 중심에 배치한다. 특히 ‘체화(Embodied)’, ‘실천(Enacted)’, ‘발현(Emergent)’이라는이라는 세 층위를 재개념화하고, 교사 지식이 신체적 감각, 실천적 행위, 우발적 생성 속에서 형성된다는 존재론적 사유를 반영하며, 수업을도식이 아닌 사건으로 이해하게 한다. 이를 통해 기존 TPACK이 설명하기 어려웠던우발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포섭함으로써, 교사 지식 연구에 새로운해석의 지평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functional limitations of the TPAC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amework and proposes TPACK-E, a reconstruction centered on interaction and ontological strata. While maintaining the integrative structure of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TPACK-E places at the center the educational realities that emerge in classroom situations—such as emotions, bodily responses, and the operations of technology. Specifically, it reconceptualizes three strata—Embodied, Enacted, and Emergent—reflecting an ontological view that teacher knowledge is formed amid bodily sensibility, practical action, and contingent becoming, and understands teaching not as a schema but as an event. By theoretically encompassing contingency and unpredictability that the conventional TPACK has struggled to explain, this study aims to open a new horizon of interpretation for research on teacher knowledge.

목차

Ⅰ. 서론
Ⅱ. TPACK의 재검토
Ⅲ. TPACK-E의 개념 제안
Ⅳ. 미술 수업에서의 TPACK-E
Ⅴ. 결론: TPACK-E의 이론적 전환을 위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양주(Yang Joo Kim). (2025).미술 수업에서의 TPACK-E 모형 제안. 미술교육논총, 39 (3), 249-272

MLA

김양주(Yang Joo Kim). "미술 수업에서의 TPACK-E 모형 제안." 미술교육논총, 39.3(2025): 249-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