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Critical Thinking in Conversations and Writing During Online VTS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손지현(Ji Hyun Sohn) 이혜선(Hye Sun L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3號, 77~10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VTS 수업이 예비교사의 비판적 사고력이 미치는 변화를 탐색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학교 예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VTS 미술 감상수업을 진행하고, 이에 따른 사전·사후 글쓰기와 수업 전사 및 채팅 자료를 질적으로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대화와 글쓰기는 단순한 관찰에서 근거 기반관찰, 추측, 정교화 또는 수정 요소가 증가하였으며, 공감·보완·전환·비판적 수용의과정을 거쳐 다중 관점을 조율하고 사고를 심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장-근거- 정당화 구조가 강화되고 사회·윤리적 맥락 성찰이 나타났다. 온라인 VTS는 글쓰기를협력적 의미구성의 장으로 전환시키며 비판적 사고력 함양을 지원하는 효과적인교수·학습 구조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online 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 sessions. Fifteen pre-service teachers from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online VTS art appreciation sessions. Pre- and post-writing samples, along with class transcripts and chat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nts’ dialogues and writings shifted from simple observations to an increased presence of supported observations, speculation, and elaboration or revision. Through processes of empathy, supplementation, transformation, and critical acceptance, they coordinated multiple perspectives and deepened their thinking. In this process, the claim-evidence-justification structure was strengthened, and reflections on social and ethical contexts emer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line VTS transforms writing into a space for collaborative meaning-making and serves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structure for fostering critical think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 온라인 VTS 수업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의 대화 및 글쓰기에 나타난 비판적 사고력 변화 탐구
- 미술 교과서 작품 정보 표기에 관한 연구
- 미술과 메타버스 활용 수업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미술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GAI) 활용의 교육학적 담론-창의성, 윤리 그리고 실천적 과제
- 도심 속 생태공원 자연 드로잉을 통한 성인 학습자의 자연연결성 탐구
- 미술교육에서 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연구
- 미술 수업에서의 TPACK-E 모형 제안
- 생태미학의 관계 개념을 통한 미술교육의 재구성
- 당신의 ‘인생작’은 무엇입니까? - 대학생 예술 경험의 인지 정서적 특성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