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이용수  0

영문명
Public Design Art Education based on Dewey’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 Designing and Exploring an Elementary Program -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사랑(Sa Rang Kim) 조인성(In Seong Cho)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9券 3號, 55~7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교육을 초등미술 수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존 듀이(John Dewey)의 경험학습이론과 접목한 수업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공공디자인 프로세스와 듀이의 경험학습 단계를 대응시켜 총 12차시 수업안을설계하였다. 수업은 문제 상황의 자각-문제의 규정과 맥락화-가설 구성-결과의추론과 검증 설계-실험적 행위-피드백의 순환 구조로 조직되었다. 연구 과정에서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디자인 수업은 학생들의 생활 경험을 학습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비판적 탐구와 창의적 문제해결을 동시에 촉진할 수 있는 교육적 잠재력이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맥락속에서 실행 가능성을 검토하고 협력적 성찰을 수행하는 활동은 공동체적 실천 의식을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경험의 연속성과 순환성을 반영한구조는 학습을 일회적 사건이 아니라 지속적 성장 과정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프로그램은 미술과 사회·환경·과학 교과 간 융합적 확장의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을 매개로 듀이의 경험학습을 실천할 수 있는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개인적표현을 넘어 사회적 책임과 참여의 가치를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성을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signed a twelve-session elementary art program by integrating John Dewey’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with public design processes. The program was structured in a cyclical sequence of problem recognition, contextualization, hypothesis formation, prediction and design, experimental action, and feedback.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design lessons can: (1) draw on students’ everyday experiences as learning resources, (2) foster critical inquir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3) promote civic awareness through community-based activities, (4) extend learning as a process of continuous growth, and (5) enable interdisciplinary connections with social studies, environment, and science. In conclusion, the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public design as a medium for practicing Dewey’s experiential learning in art education, offering students opportunities to move beyond personal expression toward social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공공디자인 미술교육을 위한 이론적 탐구
Ⅲ. 초등미술에서 공공디자인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사랑(Sa Rang Kim),조인성(In Seong Cho). (2025).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미술교육논총, 39 (3), 55-76

MLA

김사랑(Sa Rang Kim),조인성(In Seong Cho).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미술교육논총, 39.3(2025): 55-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