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ferential Approaches in Argumentative Writing Tasks i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extbooks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강란숙(Ransook Kang)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7호, 341~38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목적 글쓰기 교재에 제시된 논증 작문 과제들의 추론적 접근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학문목적 논증작문 교육을 위한 과제 구성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학문목적 글쓰기 교육을 목적으로 개발된 총 10종의 교재를 대상으로 6개의 분석 기준에 따라 논증글쓰기 과제의 추론적 접근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수의 교재들이 논증글쓰기를 위한 형식과 구성 요소 등의 기초적인 개념과 설명 그리고 연습 등은 다루지만, 귀납적·연역적 접근과 같은 추론적 접근 과정을 유도하는 활동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는 향후 학문 목적 글쓰기 교재에서 논증작문을 위한 과제는 외국인 유학생이 명확한 주장과 근거를 기반으로 인지적인 추론전략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과제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목적 쓰기 교재를 대상으로 논증작문 교육을 위한 추론적 과제 접근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논증작문 교육을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erential approaches embedded in argumentative writing tasks presented i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learners, with the goal of seeking directions for task design in future academic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ten textbooks developed for academic writing instruction were examined, and the inferential approaches in their argumentative writing tas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ix criteria. The findings show that while many textbooks address fundamental concepts, explanations, and exercises related to the format and components of argumentative writing, they lack sufficient activities that promote inferential processes such as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rgues that future academic writing textbooks should develop tasks that enable international students to systematically employ cognitive inferential strategies grounded in clear claims and supporting evid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xamination of inferential task approaches in academic writing textbooks and its contribution to suggesting directions for improving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in academic contexts.
목차
1. 머리말
2. 학문목적 작문과 논증 추론 활동
3.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7호 목차
- 肅愼·挹婁·沃沮의 關係와 存在樣態 - 西紀 2-3世紀를 중심으로
- 齋、疏、道場文 비교를 통해 본 醮禮 靑詞 연구
- 『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조선 왕릉의 선택(選擇)
- 1930년대 아동문학의 새로운 감수성 - 주요섭과 노양근의 과학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초점화된 자유 글쓰기 (Focused Freewriting)’를 적용한 수업 사례 연구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 반영된 논증 작문 과제의 추론적 접근에 관한 연구
- 《고본죽서기년집증》초벌번역 8편
- 『광개토대왕비문』과 『일본서기』의 천하 - 백제의 이명으로서의 일본
- 칠지도에 숨겨진 비밀 - 곡나철산(낭자곡산)의 위치, 왕세자 “기생성음”의 의미, “병오일 정양”의 의미
- 이희풍의 『송파유고』에 나타난 역사 속 바다 인식 양상
- 사주명리 시장의 현황과 성장방향 연구
- 아베 타이잔 『사주추명학』의 신살 활용 고찰
- 대학생 디지털 기초소양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 - 정보기술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중심으로
- 20세기 유성기 음반 잡가의 죽음 인식과 호모 모르탈리스
- 조헌영의 생애와 독립운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