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Shinsal in Abe Taizan’s Saju-Chumyeonghak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최정혜(Jeonghea Choi)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7호, 243~2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아베 타이잔(阿部泰山) 『사주추명학』에 나타난 신살(神煞)의 특징과활용을 살펴보고, 중국고전명리와 비교 및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살은 오성학(五星學)과 칠정사여(七政四餘)에서 연원하여 오행의 태과불급, 형충파해합 등 온갖 명칭을 총칭한 말로, 점단(占斷)이나 점성술(占星術)에서 길흉을 예측하였다. 그러므로 ‘신’은 길성(吉星)이고 ‘살’은 흉성(凶星)으로, 효용(效用)의 유무를 구분하여 현재에도 활용되고 있다.
중국고전명리에서 『연해자평』·『명리정종』·『삼명통회』는 방대한 이론과 추리로 신살을 긍정적으로 논하고 있으나, 『명리약언』·『자평진전』·『적천수천미』는 신살에 대하여 부정적이다. 그 연유는 음양오행의 강약과 용신 및격국의 분별이 어려워 길흉을 알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이렇듯 고전명리는 현시대에 가까워질수록 신살의 부정론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에 반해 『사주추명학』에서 신살은, 길신과 흉신이 겸한 것도 있고, 흉신이라도 흉으로 단정할 수 없으며, 길신도 흉으로 변할 수 있으니, 사주의 배합에따라 보조 역할인 것을 강조하고 있다.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선 격국과오행을 기준으로 삼되, 공망과 12운성을 논하는 과정에서 신살을 활용했다는점이, 기존의 부정했던 명리고전과 신살 활용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Shinsal(神煞) as persented in Abe Taizan’s Saju-Chumyeonghak(四柱 推命學), and to compare and apply them in relation to traditional Chinese classical Myeongni(命理). Shinsal originates from Oseonghak(五星學) and Chiljeongsayeo(七政四餘), and serven as a collective term for various concepts related to the Ohaeng(五行), such as Taegwabulgeub(太過不及), and interactions like Hyeongchungpahaehab(刑沖破害合). It has been used in Jeomdan(占斷) and Jeomseongsul(占星術) to predict Gilhyung(吉凶). Accordingly, ‘Shin(神)’ refers to Gilsung(吉星), while ‘Sal(煞)’ refers to Hyeongsung(凶星), and their presence or absence continues to be utilized today depending on their perceived Hyoyong(效用).
In classical Chinese Myeongni, texts such as Yeonhae Japyeong(淵海子平), Myeongni Jeongjong(命理正宗) and Sammyeong Tonghoe(三命通會) discuss Shinsal in a positive light through extensive theoretical reasoning and inference. However, works like Myeongliyag-eon(命理約言), Japyeongjinjeon(子平眞 銓) and Jjeogcheonsucheonmi(滴天髓闡微) take a negative stance toward Shinsal. The reas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Gilhyung(吉凶) due to the challenges in accurately discerning the Gang-yag(强弱) of Eumyang-ohaeng(陰 陽五行), as well as identifying the Yongsin(用神) and Gyeoggug(格局). thus, it can be seen that as Classical Myeongni theory approaches modern times, its perspective tends to lean more toward skepticism regarding Shinsal.
In contrast, Saju-Chumyeonghak presents a different view of Shinsal, It notes that some Shinsal encompass both Gilsung and Hyeongsin(凶神) qualities, and that even a Hyeongsin cannot be defintively labeled as harmful, just as a Gilsung may turn inauspicious depending on the context. The text emphasizes that Shinsal serves a supplementary role,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elements in the Saju(四柱). As demonstrated in various case studies, Gyeoggug(格局) and the Ohaeng are taken as primary factors, but Shinsal is actively employed in the analysis of Gongmang(空亡) and 12 Unseong(運星). this approach marks a clear distinction from traditional Myeongni texts that tend to reject the use of Shinsal.
목차
1. 머리말
2. 명리고전의 신살 이론
3. 『사주추명학』의 신살 활용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7호 목차
- 肅愼·挹婁·沃沮의 關係와 存在樣態 - 西紀 2-3世紀를 중심으로
- 齋、疏、道場文 비교를 통해 본 醮禮 靑詞 연구
- 『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조선 왕릉의 선택(選擇)
- 1930년대 아동문학의 새로운 감수성 - 주요섭과 노양근의 과학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초점화된 자유 글쓰기 (Focused Freewriting)’를 적용한 수업 사례 연구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 반영된 논증 작문 과제의 추론적 접근에 관한 연구
- 《고본죽서기년집증》초벌번역 8편
- 『광개토대왕비문』과 『일본서기』의 천하 - 백제의 이명으로서의 일본
- 칠지도에 숨겨진 비밀 - 곡나철산(낭자곡산)의 위치, 왕세자 “기생성음”의 의미, “병오일 정양”의 의미
- 이희풍의 『송파유고』에 나타난 역사 속 바다 인식 양상
- 사주명리 시장의 현황과 성장방향 연구
- 아베 타이잔 『사주추명학』의 신살 활용 고찰
- 대학생 디지털 기초소양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 - 정보기술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중심으로
- 20세기 유성기 음반 잡가의 죽음 인식과 호모 모르탈리스
- 조헌영의 생애와 독립운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