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Growth Directions of the Four Pillars of Destiny Market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고윤상(Yoonsang Ko) 조기룡(Kiryong Cho)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7호, 211~24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주명리 시장의 구조적 특성과 변화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주명리의 바람직한 성장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주명리는 전통적으로 개인의 운명을 해석하고 조언하는 민속신앙의 일환으로, 비제도적이고 비공식적인 구조 속에서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 제도화와 상품화가 급속히 진행되며 하나의 문화산업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 흐름을 ‘이론 영역으로서의 사주명리학’과 ‘실관 영역으로서의 사주명리 상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시장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론 영역에서는 평생교육원, 대학 강좌, 민간자격제도를 중심으로 한 제도화 과정을 조명하였고, 실관 영역에서는 대면 상담 중심에서 앱, 유튜브, 화상상담 등 디지털 기반의 비대면 플랫폼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주명리 시장은 세 가지 관점에서 구조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평생교육원, 대학 강좌, 민간자격제도 중심의 이론적 지식 제도화, 둘째, 전통적 대면 방식에서 앱, 유튜브, 화상상담 등 디지털 플랫폼으로 전환되는 실천적 상담 서비스, 셋째,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통해 확장되는 디지털 소비 시장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사주명리 시장이 단순한 전통지식 소비를 넘어 제도화와 전문상담화를 통해 문화콘텐츠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사주명리 시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첫째, 철학적 기반에 입각한학문적 체계화, 둘째, 삶의 해석을 가능케 하는 철학 상담과의 융합, 셋째, 디지털 상담의 윤리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도 정비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ation patterns of the Four Pillars of Destiny market and, based on this analysis, propose desirable directions for its sustainable development. Traditionally, Four Pillars of Destiny has functioned as a form of folk belief that interprets and offers advice on individual fate, operating largely outside institutional and official frameworks. However, in contemporary society, the field has undergone rapid institutionalization and commodification, emerging as a cultural industry.
This study categorizes the market transformation by dividing it into “Four Pillars of Destiny as a theoretical discipline” and “Four Pillars of Destiny consultation as a practical service” and analyzes the marketization patterns within each domain. The theoretical domain focuses on the academicization process through lifelong education programs, university courses, and private certification systems. The practical domain examines the shift from traditional face-to-face consultations to digitally-based, non-face-to-face platforms such as mobile apps, YouTube, and video consultations.
The research findings confirm that the Four Pillars of Destiny market is being structured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theoretical knowledge institutionalization centered on lifelong education centers, university courses, and private certification systems; second, practical consultation services transitioning from traditional face-to-face formats to digital platforms including apps, YouTube, and video consultations; third, digital consumer markets expanding through various online channels.
These developments indicate that the Four Pillars of Destiny market is transforming beyond mere consump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into a cultural content industry through academic formalization and professionalized consultation practice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three key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Four Pillars of Destiny market: first, academic systematization based on philosophical foundations; second, integrating philosophical counseling to enable existential interpretation of life; third, improving institutional frameworks to ensure ethical standards and professional quality in digital consultation environments.
This research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the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growth of Four Pillars of Destiny studies as a non-institutional divination belief, in contrast to the declining fortune-seeking functions of institutional religions, while seeking possibilities for complementary development with institutional religions through critical examination of existing growth factors.
목차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3. 사주명리 시장의 현황
4. 사주명리 시장의 성장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7호 목차
- 肅愼·挹婁·沃沮의 關係와 存在樣態 - 西紀 2-3世紀를 중심으로
- 齋、疏、道場文 비교를 통해 본 醮禮 靑詞 연구
- 『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조선 왕릉의 선택(選擇)
- 1930년대 아동문학의 새로운 감수성 - 주요섭과 노양근의 과학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초점화된 자유 글쓰기 (Focused Freewriting)’를 적용한 수업 사례 연구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 반영된 논증 작문 과제의 추론적 접근에 관한 연구
- 《고본죽서기년집증》초벌번역 8편
- 『광개토대왕비문』과 『일본서기』의 천하 - 백제의 이명으로서의 일본
- 칠지도에 숨겨진 비밀 - 곡나철산(낭자곡산)의 위치, 왕세자 “기생성음”의 의미, “병오일 정양”의 의미
- 이희풍의 『송파유고』에 나타난 역사 속 바다 인식 양상
- 사주명리 시장의 현황과 성장방향 연구
- 아베 타이잔 『사주추명학』의 신살 활용 고찰
- 대학생 디지털 기초소양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 - 정보기술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중심으로
- 20세기 유성기 음반 잡가의 죽음 인식과 호모 모르탈리스
- 조헌영의 생애와 독립운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