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istorical Perceptions of the Sea in Yi Hui-pung’s Songpa Yugo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양훈식(Hoonshik Yang)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7호, 123~1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송파 이희풍의 『송파유고』에서 「김해사전」과 그가 쓴한시 등에 나타난 역사 속 바다 인식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 후기 송파이희풍은 『송파유고』에 「김해사전」을 통해서는 바다 체험과 문물 교류에 열린 자세를 견지하고 있었다. 「김해사전」은 바다가 제공한 지리적 경계를 넘어 새로운 세계와의 만남을 선사하고 교유한 도전과 성찰적 바다 이상의 의미를 제공한 것이다. 이는 조선 후기 지식인으로서 유교적 한계에 대한 인식과 세속에 얽매이지 않고 살아간 인물에 대한 확장적 견해를 보여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희풍이 제시한 한시 속 역사적인 바다에 관한 인식은 칭송과 애도의 공간으로 형상화되어 나타났다. 장보고와 정년 장군을 다룬 한시에서는 제해권을 장악했던 역사적 승리의 장소에서 얻은 웅혼한 감회를 제시하였고 구한말 어재연 장군이 패한 광성보 전투의 상황을 그린 한시에서는국운의 쇠약과 소통의 부재로 일어난 국면에서 장엄하게 전사한 인물을 통해 비장미를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지식인이 바다를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그 실마리를 제공한 것으로 이희풍이 새로운 세상과 만나 소통하고그들의 사상과 체험을 통해 인식하는 세계를 김해사를 통해 보여준 셈이다. 이는 당대 지식인들이 바다와 삶의 의미를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보여주는 문학사적인 사례 및 역사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바다는 도전과 성찰의 바다이면서 역사적 승패에 따라 칭송과 애도가 교차하는바다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f the sea in history as represented in Yi Hui-pung’s Songpa Yugo of the late Joseon period, focusing on Kim Hae-sa-jeon and his Sino-Korean poems. Through these texts, Yi presents the sea as a space of reflection and realization, revealing his perception of the sea as more than a geographical boundary. In Kim Hae-sa-jeon, Yi demonstrates an open attitude toward maritime experiences and cultural exchanges, portraying the sea as a place of encounter with new worlds and a source of intellectual challenge and introspection. This work reflects the consciousness of a late Joseon literatus who critically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Confucianism and sought a life beyond worldly constraints. Yi’s poems dealing with historical events at sea further illustrate this perception. His works on General Jang Bogo and General Jeong Nyeon evoke the grandeur of historical victories in maritime dominance, while his poem on the fall of General Eo Jae-yeon at the Battle of Gwangseongbo expresses tragic admiration, highlighting the decline of national fortune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is study thus provides insight into how late Joseon intellectuals perceived the sea as both a site of challenge and reflection, as well as a locus of praise and lamentation depending on historical outcomes. Yi Hui-pung’s Kim Hae-sa-jeon serves as a significant literary and historical source that reveals the broader cultural and existential meanings the sea held for intellectuals of the time.
목차
1. 서론
2. 도전과 성찰의 바다
3. 칭송과 애도의 바다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7호 목차
- 肅愼·挹婁·沃沮의 關係와 存在樣態 - 西紀 2-3世紀를 중심으로
- 齋、疏、道場文 비교를 통해 본 醮禮 靑詞 연구
- 『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조선 왕릉의 선택(選擇)
- 1930년대 아동문학의 새로운 감수성 - 주요섭과 노양근의 과학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초점화된 자유 글쓰기 (Focused Freewriting)’를 적용한 수업 사례 연구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 반영된 논증 작문 과제의 추론적 접근에 관한 연구
- 《고본죽서기년집증》초벌번역 8편
- 『광개토대왕비문』과 『일본서기』의 천하 - 백제의 이명으로서의 일본
- 칠지도에 숨겨진 비밀 - 곡나철산(낭자곡산)의 위치, 왕세자 “기생성음”의 의미, “병오일 정양”의 의미
- 이희풍의 『송파유고』에 나타난 역사 속 바다 인식 양상
- 사주명리 시장의 현황과 성장방향 연구
- 아베 타이잔 『사주추명학』의 신살 활용 고찰
- 대학생 디지털 기초소양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 - 정보기술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중심으로
- 20세기 유성기 음반 잡가의 죽음 인식과 호모 모르탈리스
- 조헌영의 생애와 독립운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