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election of Royal Tomb Sites in the Joseon Dynasty as Reflected in the Shuanlingduanjianyizui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박정해(Jeonghae Park)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7호, 185~2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택일을 분석해서 당시 활용되던 상례시간과 꺼리는 방위(忌方)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례(喪禮) 에 대한 절차는 망자에 대한 보은과 효심의 표현에서 비롯되었다. 공자의 말때문만은 아니었으며, 고대부터 예법으로 자리하고 있었다.『예기』를 비롯하여『의례』,『주례』,『가례』,『춘추좌씨전』등에도 상례와 관련한 규정이 보이는이유이다. 성리학을 중시하던 조선시대에도 역시 중요한 예법으로 자리하게되는데, 조선 전기에는『주자가례』의 주석서 정도가 있었다. 상례의 택일과관련한 선택서도 활용되는데,『극택통서』와『시용통서』,『협길통의』,『상길통서』,『선택기요』등은 관상감에서 추길관을 선발하는 중요한 교재로 활용되고있다. 왕과 왕후의 상례를 치르는 과정에 선택서에서 제시한 시간과 방위는철저하게 준수하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는 것은 산릉도감의 중요한 업무중에하나로 자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aegil(擇日, Selection of an auspicious day) as recorded in the『Shuanlingduanjianyizui(山陵都監儀軌)』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 standards used in sangnye(喪禮) and gibang(忌方) observ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rocedures of sangnye originated from the expression of filial piety and the repayment of gratitude toward the deceased. This tradition was not solely based on Confucius’ teachings, but rather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 ritual norm since antiquity. This is why regulations concerning sangnye are found in classical texts such as『Liji(禮記)』,『Yili(儀禮)』,『Zhouli(周禮)』,『Jiali(家禮)』and the『Chunqiuzoushizhuan(春秋左氏傳)』. Even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placed great emphasis on Neo-Confucianism, sangnye continued to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ritual norms. In the early Joseon period, however, only annotated commentaries on the『Zhouzijiali(朱子家禮) were available. Various auspicious date selection manuals were also used to determine the proper timing of sangnye. Texts such as the 『Kezetongshu(剋擇通書)』, the 『Shiyongtongshu(時用通書)』, the『Xiejitongyi(協吉通義)』, the 『Xiangjitongshu(象吉通書)』, and the『Xuanzejiyao(選擇紀要)』 served as essential instructional materials in Gwan-sang-gam(觀象監) for training and appointing officials known as chugilgwan(諏吉官). In the royal funerary process, the prescribed times and directions outlined in these manuals were rigorously observed, and implementing these prescriptions constituted one of the principal responsibilities of the Shuanlingduanjian(山陵都監).
목차
1. 머리말
2. 상례 문헌과 구성
3. 상례 시간과 방위
4.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7호 목차
- 肅愼·挹婁·沃沮의 關係와 存在樣態 - 西紀 2-3世紀를 중심으로
- 齋、疏、道場文 비교를 통해 본 醮禮 靑詞 연구
- 『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조선 왕릉의 선택(選擇)
- 1930년대 아동문학의 새로운 감수성 - 주요섭과 노양근의 과학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초점화된 자유 글쓰기 (Focused Freewriting)’를 적용한 수업 사례 연구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 반영된 논증 작문 과제의 추론적 접근에 관한 연구
- 《고본죽서기년집증》초벌번역 8편
- 『광개토대왕비문』과 『일본서기』의 천하 - 백제의 이명으로서의 일본
- 칠지도에 숨겨진 비밀 - 곡나철산(낭자곡산)의 위치, 왕세자 “기생성음”의 의미, “병오일 정양”의 의미
- 이희풍의 『송파유고』에 나타난 역사 속 바다 인식 양상
- 사주명리 시장의 현황과 성장방향 연구
- 아베 타이잔 『사주추명학』의 신살 활용 고찰
- 대학생 디지털 기초소양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 - 정보기술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중심으로
- 20세기 유성기 음반 잡가의 죽음 인식과 호모 모르탈리스
- 조헌영의 생애와 독립운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