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齋、疏、道場文 비교를 통해 본 醮禮 靑詞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Letter Cheong-sa (靑詞) for Choi-rye (醮禮) by Comparing the Letter Styles: Jae (齋), Soh (疏) and Do-ryang-mun (道場文)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박소현(Sohyun Park)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27호, 153~18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류는 고대부터 생명과 밀접하게 연관된 자연재해와 오곡의 생장, 수확 앞에서 신과 위정자에게 복을 빌고 비를 기원하는 의례를 거행해왔다. 이러한축원의 행위는 유가·불가·도가라는 사상적 경계를 초월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화현상이며, 각 사상 전통은 고유의 과의문(科儀文)을 통해 자신들의 세계관과 종교관, 문학적 미의식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유가(儒家)의 기우(祈 雨) 축문(祝文), 불가(佛家)의 도량소(道場疏), 도가(道家)의 초례(醮禮) 청사(靑 詞)를 중심으로, 삼교(三敎)의 기우 의례문이 지닌 문체적 형식과 사상적 구조를 비교 분석하고, 그 내재적 차이와 문화적 기반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유가(儒家)의 축문(祝文)은 『예기(禮記)』 및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전거(典據)에 기반하여 통치자의 자기반성과 덕치(德治)의 원리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보본반시(報本反始)”를 이상으로 하는 정치 윤리적 문서로 기능하였다. 불가(佛家)의 도량소(道場疏)는 『대운윤청우경(大雲輪請雨經)』에 따른 방단(方壇)의 시각적 장엄과 여래경(如來經) 설법의 상징 구조를 통해, 자비와가피를 청하는 불교의 사유를 형상화하였으며, 문체적으로는 도가와의 혼용양상이 나타난다. 도가(道家)의 청사(靑詞)는 당대(唐代) 태청궁(太淸宮)의 초례(醮禮)에서 기원한 것으로, 사륙변문(四六騈文) 형식의 엄정한 규격과 주술적 언어를 통해 신적 개입을 매개하는 형식화된 축문으로 정착하였다. 이와 같이 삼교(三敎)의 기우 제의문은 동일한 현실 문제에 응답하면서도 각기 다른 문체 구조, 신관(神觀), 제의 절차를 반영하며, 나아가 도덕, 자비, 주술이라는 상이한 사상적 방식으로 신과 인간의 교섭을 시도하였다. 축문은 단순한 종교 언술을 넘어 정치와 문학, 종교와 언어 형식이 교차하는 복합 담론의장으로 기능하였음을 본 연구는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재(齋), 소(疏), 청사(靑詞)에 대한 삼교 문체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의문학에 대한 인문학적 재조명을 시도한 초기 단계로서, 향후 한·중 양국의 제의문 비교, 낭독 양식 및 주제, 대상별 심화 분석으로 이어지는 후속 연구의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Since antiquity, humanity has responded to natural calamities and agricultural crises—events inseparable from survival—through ritual supplication directed toward both divine forces and governing authorities. Such acts of prayer for rain and blessings transcend the doctrinal divid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each of which developed distinctive ritual texts (Gwaui-mun, 科儀文) that embody their respective cosmologies, theological frameworks, and literary aesthetics. This study offer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fucian Prayer Texts for Rain (Gi’u Chukmun, 祈雨祝文), the Buddhist Doryangso (道場疏), and the Daoist Cheongsa (靑詞), with the aim of elucidating the textual structures and ideological underpinnings of ritual literature within the Three Teachings (三敎) tradition in East Asia. Confucian prayer texts, rooted in classical sources such as the Liji and Lüshi Chunqiu, formulate a political theology of moral responsibility, wherein rulers assume guilt for misfortunes and seek to rectify cosmic imbalance through virtuous governance. These texts emphasize the Confucian ideal of repaying the root and returning to the origin (報本反始) and present prayer not as a personal plea but as a moral declaration of public responsibility. By contrast, the Buddhist Doryangso, informed by scriptures such as the Dayunlun Qingyu Jing, constructs a visually symbolic ritual altar (方壇) centered on Śākyamuni Buddha expounding the Tathāgata Sutra, invoking compassionate intercession (karuṇā) and salvific empowerment (adhiṣṭhāna) on behalf of suffering sentient beings. The stylistic hybridity of these texts also reveals their incorporation of Daoist terminology and form. Daoist Qingsi originated in Jiao rites at the Taiqing Palace during the Tang dynasty and evolved into a highly codified literary form composed in regulated parallel prose (四六騈文) using vermilion ink on blue-dyed paper. Their tripartite structure—invocation, confession, and petition—reflects the Daoist emphasis on ritual precision and spiritual efficacy. By the Song and Ming periods, Qingsi had expanded from a state-centered genre into one encompassing individual aspirations for prosperity and longevity, thereby acquiring a dual function as both liturgical and literary expression. Despite responding to the same existential threat of drought, the Three Teachings articulated fundamentally distinct modes of medi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divine: through moral contrition (Confucianism), compassionate devotion (Buddhism), and esoteric ritual efficacy (Daoism).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rayer text was not merely a vehicle of religious sentiment but a complex cultural discourse wherein politics, religion, literature, and cosmology intersect. As an initial comparative study of Zhai, Doryangso, and Qingsi,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East Asian ritual texts and lays a foundation for future inquiries across Chinese and Korean corpora, including comparative thematic analysis, performance contexts, and ritual literary aesthetics.

목차

1. 서론
2. 유불(儒佛)의 기우(祈雨) 과의문(科儀文)
3. 도가(道家)의 초례(醮禮) 청사(靑詞)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현(Sohyun Park). (2025).齋、疏、道場文 비교를 통해 본 醮禮 靑詞 연구. 역사와 융합, (), 153-183

MLA

박소현(Sohyun Park). "齋、疏、道場文 비교를 통해 본 醮禮 靑詞 연구." 역사와 융합, (2025): 153-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