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박지훈(Ji Hoon Park) 김보영(Boyoung Kim) Jiaoxing Cui 박예린(Yerin Park)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4호, 209~2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보이즈러브(Boys’ Love, 이하 BL)가 하위문화에서 주류문화로, 나아가 글로벌 대중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발전해 온 역사적·문화적 궤적을 고찰한다. BL을 현대 미디어의 흐름 속에 위치시키고, 팬 중심의 소규모 하위문화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문화상품으로 변모한 과정을 추적하였다. 특히 미디어 상업화, 플랫폼 다변화, 문화적 혼종성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며, 한국 BL이 ‘부드러운 남성성’과 같은 고유한 지역적 속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국제 시장에 적응하며 전략적으로 자리 잡은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역사적 분석, 산업 사례 연구, BL 드라마 제작자 인터뷰, 팬 담론 분석을 활용하여 BL의 글로벌한 매력을 견인하는 요인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디어 환경, 문화적 적응,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화 간의 진화하는 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rajectory of Boys’ Love (BL) as it evolved from a subculture into a mainstream phenomenon, and subsequently into a significant element of global popular culture,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s. By situating BL within the broader dynamics of contemporary media, the study traces its transformation from fan-driven, niche communities to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cultural product.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interplay between media commercialization, platform diversification, and cultural hybridization, it analyzes how Korean BL has strategically positioned itself within the global market, incorporating distinctive local attributes, such as soft masculinity, while adapting to diverse international audiences. This research draws on historical analysis, industry case studies, interviews with BL drama producers, and fan discourse to illuminate the factors driving BL’s global appeal, thereby contribut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media development, cultural adapt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popular culture.
목차
1. Introduction
2. The Beginnings of Korean BL Culture (from 1990s to 2010s)
3. From Subculture to BL Webtoon (From 2010 to 2020)
4. From BL Webtoon to BL TV Dramas and Films (2020-)
5. Regionalized Platform Approaches
6. T he G lobal Appeal o f Korean B L
7. The Culture of BL Drama
8.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제가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연구: 전주가족영화제를 중심으로
- 보이지 않는 장(Field): K-pop과 인디 신(Indie Scene)의 문화적 공진화
- 일본 온천·목욕문화 콘텐츠의 정서적 수용 구조 분석: 일본 Z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 딥페이크 콘텐츠의 유형과 양가성에 관한 연구
- 단편 애니메이션 <아버지와 딸>에서 시간성의 장면화
- Adaptive Reuse of Industrial Heritage for Cultural Regeneration in China's 2nd-Tier Cities: A Case Study of Taiyuan
- 글로벌문화콘텐츠 제64호 목차
- <살인자ㅇ난감>의 단죄형 반영웅 연구: 웹툰과 드라마 <살인자ㅇ난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콘텐츠 큐레이션을 활용한 전통 문화 콘텐츠의 서비스 확산 방안 연구
- 우리 청소년소설의 탈장르 경향과 과제: 아감벤의 비잠재성 개념을 중심으로
- K-pop의 글로벌 확산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MZ세대 인식 연구: BTS, 블랙핑크, 캣츠아이를 중심으로
-
시사 다큐멘터리와 AI 영상의 조우: MBC
“내란수괴 혐의, 그는 무엇을 노렸나” 편을 중심으로 - From Subculture to Global Culture: The Evolution of Korean BL
-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의 진정성 문제: 뮈토스와 로고스의 복합적 부재
- 탈진실 시대, 새드엔딩 드라마의 사회적 기능 연구: 드라마 <공작도시>를 중심으로
- OTT 시대의 도래와 ‘영화’ 개념의 변화
- 숏폼시대, 음식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舌尖上的中國)>의 숏폼 콘텐츠를 중심으로
- 로드 무비로서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의 장르 구조와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영화제가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연구: 전주가족영화제를 중심으로
- 보이지 않는 장(Field): K-pop과 인디 신(Indie Scene)의 문화적 공진화
- 일본 온천·목욕문화 콘텐츠의 정서적 수용 구조 분석: 일본 Z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