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st-Genre Tendencies and Challenges in Korean Young Adult Fiction: Focusing on Agamben’s Concept of Impotentiality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동환(Dong-hwan Kim) 홍종열(Jong-yeol Ho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4호, 141~1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1세기 들어 영어덜트 픽션(YA fiction)은 가장 역동적인 서사 장르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왔다. 특히 <헝거게임>을 비롯한 판타지 및 SF 계열의 영미권 YA픽션은 대중 서사의 형식을 통해 억압적 체제 속에서의 청소년 주체의 형성과 저항을 다루며 일종의 문화 현상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최근의 한국 청소년소설은 YA픽션의 명칭을 혼용하거나 외형을 차용하려는 탈장르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한국 청소년소설은 90년대 이후 아동문학에서 파생된 계몽주의적 성격과 성장서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독자인 청소년을 자칫 능력주의 체제에 편입시키는 도구적 서사로서 기능한다. 본 논문은 아감벤의 ‘비잠재성’ 개념을 중심으로, YA픽션과 구분되는 한국 청소년소설의 형성과정과 서사적 한계를 진단하고, YA픽션 대표작들을 통해 최근 YA픽션의 특질을 추론, 분류하며 YA픽션이 가진 비잠재성 개념이 어떻게 우리 청소년소설의 서사 윤리가 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본 논문은 우리 청소년소설이 놓인 ‘출판계-교육계-학계-작가-(학부모)소비자’의 관계망이 청소년 서사에서 독자인 청소년을 소외시키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우리 청소년소설이 표면적인 탈장르화로 YA픽션의 외형만을 차용하는 데 그칠 경우, 청소년 주체의 윤리적 실존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헝거게임>과 <다이버전트>, <엔더의 게임>등 대표작들에 나타난 YA픽션의 특질은 반성장서사, 장르성, 비잠재성으로 요약될수 있는데 특히 아감벤의 이론에 비추어 YA픽션의 서사는 청소년 주체가 비잠재성을 유지하려는 윤리적 결단과 저항의 서사로 기능하며, 단일한 성장의 길을 강요받는 현실과는 다른 서사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청소년소설이 단순히 시장 논리에 편승한 장르 융합을 넘어, 진정한 탈근대적 주체 서사로 나아가기 위한 서사적, 교육적 전환이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Young Adult (YA) fic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most dynamic narrative genres. In particular, Anglophone YA fiction in the fantasy and science fiction genres—most notably The Hunger Games—has addressed the formation and resistance of youth subjectivity under oppressive systems through the form of popular narrative, and has even been regarded as a cultural phenomenon. Recent Korean young adult novels show a de-genre-ization tendency that mixes the term “YA fiction” or borrows its outward form. However, Korean young adult fiction, since the 1990s, has been rooted in an Enlightenment-oriented character and the Bildungsroman tradition derived from children’s literature, functioning at times as an instrumental narrative that risks incorporating young readers into a meritocratic system. This study, focusing on Agamben’s concept of impotentiality, diagnoses the formation process and narrative limitations of Korean young adult fiction as distinct from YA fiction, infers and categorizes recent characteristics of YA fiction through representative works, and examines how the concept of impotentiality in YA fiction can become a narrative ethic for Korean young adult literature.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how the network of “publishing industry-education system-academia-authors-(parental) consumers” in which Korean young adult fiction is situated alienates young readers from youth narratives. It warns that, in this situation, if Korean young adult fiction remains at a superficial de-genre-ization that merely adopts the outward appearance of YA fiction, it may result in threatening the ethical existence of the youth subject. The characteristics of YA fiction found in representative works such as The Hunger Games, Divergent, and Ender’s Game can be summarized as the anti-Bildungsroman, genre orientation, and impotentiality, and in particular, in light of Agamben’s theory, the narratives of YA fiction function as stories of ethical decision and resistance in which the youth subject strives to maintain impotentiality, presenting narrative possibilities different from a reality that forces a single path of growth.
Accordingl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Korean young adult fiction to move beyond market-driven genre fusion toward a genuine postmodern narrative of subjectivity, calling for both narrative and educational transformation.
목차
1. 우리 청소년소설의 탈장르 경향
2. 청소년소설과 영어픽션의 장르 형성
3. YA픽션의 세 가지 특질
4. 아감벤의 비잠재성과 영어덜트 픽션의 서사 윤리
5. 비잠재성으로 본 우리 청소년소설의 딜레마
6. 우리 청소년소설의 탈장르, 탈근대 가능성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제가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연구: 전주가족영화제를 중심으로
- 보이지 않는 장(Field): K-pop과 인디 신(Indie Scene)의 문화적 공진화
- 일본 온천·목욕문화 콘텐츠의 정서적 수용 구조 분석: 일본 Z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 딥페이크 콘텐츠의 유형과 양가성에 관한 연구
- 단편 애니메이션 <아버지와 딸>에서 시간성의 장면화
- Adaptive Reuse of Industrial Heritage for Cultural Regeneration in China's 2nd-Tier Cities: A Case Study of Taiyuan
- 글로벌문화콘텐츠 제64호 목차
- <살인자ㅇ난감>의 단죄형 반영웅 연구: 웹툰과 드라마 <살인자ㅇ난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콘텐츠 큐레이션을 활용한 전통 문화 콘텐츠의 서비스 확산 방안 연구
- 우리 청소년소설의 탈장르 경향과 과제: 아감벤의 비잠재성 개념을 중심으로
- K-pop의 글로벌 확산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MZ세대 인식 연구: BTS, 블랙핑크, 캣츠아이를 중심으로
-
시사 다큐멘터리와 AI 영상의 조우: MBC
“내란수괴 혐의, 그는 무엇을 노렸나” 편을 중심으로 - From Subculture to Global Culture: The Evolution of Korean BL
-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의 진정성 문제: 뮈토스와 로고스의 복합적 부재
- 탈진실 시대, 새드엔딩 드라마의 사회적 기능 연구: 드라마 <공작도시>를 중심으로
- OTT 시대의 도래와 ‘영화’ 개념의 변화
- 숏폼시대, 음식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舌尖上的中國)>의 숏폼 콘텐츠를 중심으로
- 로드 무비로서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의 장르 구조와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영화제가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연구: 전주가족영화제를 중심으로
- 보이지 않는 장(Field): K-pop과 인디 신(Indie Scene)의 문화적 공진화
- 일본 온천·목욕문화 콘텐츠의 정서적 수용 구조 분석: 일본 Z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