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ultural Identity and Global Expansion of K-pop: MZ Generation’s Perception of BTS, BLACKPINK, and KATSEYE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제나(Jenna Kim)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4호, 165~1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pop의 글로벌 확산에 대한 MZ세대의 인식을 분석한다. BTS, BLACKPINK, KATSEYE는 미국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세계적 인기를 얻은 그룹으로, 이들을 중심으로 MZ세대가 K-pop의 세계화 현상을 어떻게 수용하는지를 살펴본다. 과거 K-pop은 지나치게 글로벌 시장에 집중하며 정체성 혼란과 음악성 저하 등의 비판을 받아왔으나, 최근에는 초국적 소비와 문화적 혼종성이 자연스럽게 수용되고 있다. 특히 MZ세대는 한류 이후 K-pop을 접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 초문화적 현상에 개방적일 것으로 보이며, 기존 담론처럼 K-pop의 정체성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는지도 함께 검토하였다. 서울 및 경기 소재 대학 재학생 200명(한국인 100명, 외국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K-pop 콘텐츠에 익숙한 MZ세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설문은 각 그룹의 음악 스타일과 활동 변화에 대한 수용 태도를 중심으로,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대의 MZ세대가 K-pop을 어떻게 수용하며, 어떤 문화적 태도와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the MZ generation regarding the global expansion of K-pop. Focusing on BTS, BLACKPINK, and KATSEYE—groups that have gained worldwide popularity targeting the U.S. market—it explores how this generation accepts the globalization of K-pop. While K-pop has previously been criticized for excessively prioritizing global markets, leading to concerns about identity confusion and the decline of musicality, recent trends show that transnational consumption and cultural hybridity are being accepted more naturally. The MZ generation, as digital natives who encountered K-pop after the rise of the Korean Wave, is presumed to be more open to transcultural phenomena.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hey share concerns from earlier discourses regarding the identity of K-pop.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university students (100 Korean and 100 foreign students) from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ll of whom are highly familiar with K-pop content. By analyzing their views on each group’s music style and strategic shifts, the study aims to uncover how the MZ generation embraces K-pop in the global era and constructs cultural attitudes and identities in respons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조사 설계
4. 결과 분석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제가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연구: 전주가족영화제를 중심으로
- 보이지 않는 장(Field): K-pop과 인디 신(Indie Scene)의 문화적 공진화
- 일본 온천·목욕문화 콘텐츠의 정서적 수용 구조 분석: 일본 Z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 딥페이크 콘텐츠의 유형과 양가성에 관한 연구
- 단편 애니메이션 <아버지와 딸>에서 시간성의 장면화
- Adaptive Reuse of Industrial Heritage for Cultural Regeneration in China's 2nd-Tier Cities: A Case Study of Taiyuan
- 글로벌문화콘텐츠 제64호 목차
- <살인자ㅇ난감>의 단죄형 반영웅 연구: 웹툰과 드라마 <살인자ㅇ난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콘텐츠 큐레이션을 활용한 전통 문화 콘텐츠의 서비스 확산 방안 연구
- 우리 청소년소설의 탈장르 경향과 과제: 아감벤의 비잠재성 개념을 중심으로
- K-pop의 글로벌 확산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MZ세대 인식 연구: BTS, 블랙핑크, 캣츠아이를 중심으로
-
시사 다큐멘터리와 AI 영상의 조우: MBC
“내란수괴 혐의, 그는 무엇을 노렸나” 편을 중심으로 - From Subculture to Global Culture: The Evolution of Korean BL
-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의 진정성 문제: 뮈토스와 로고스의 복합적 부재
- 탈진실 시대, 새드엔딩 드라마의 사회적 기능 연구: 드라마 <공작도시>를 중심으로
- OTT 시대의 도래와 ‘영화’ 개념의 변화
- 숏폼시대, 음식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舌尖上的中國)>의 숏폼 콘텐츠를 중심으로
- 로드 무비로서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의 장르 구조와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영화제가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연구: 전주가족영화제를 중심으로
- 보이지 않는 장(Field): K-pop과 인디 신(Indie Scene)의 문화적 공진화
- 일본 온천·목욕문화 콘텐츠의 정서적 수용 구조 분석: 일본 Z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