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건국민운동 참여 지식인의 덴마크 모델 인식과 실천

이용수  0

영문명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Danish Model by Intellectuals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태완(TaeWan Kim)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95집, 175~20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960년대 초반 재건국민운동을 매개로 지식인들의 덴마크 모델이 어떻게 실천되고 변형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글이다. 1950년대 후반 농촌인구가 다수이고 여전히 빈곤이 만연한 현실에서 농촌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덴마크 모델이 부상했다. 덴마크는 전쟁의 패배를 딛고 일어나 황무지를 낙토로 만든 농업국가로 주목받았다. 똑같이 전쟁을 겪고 농업국가였던 한국에 덴마크는 부흥의 모델이었다. 4월혁명 이후 시장경제 확대와 제도개선, 통일 등 후진성 극복을 위한 근대화 담론들이 등장했는데 덴마크 모델을 따르는 지식인들은 독자적인 노선을 걸었다. 이들은 5·16쿠데타 이후 쿠데타 세력이 추진한 재건국민운동에 합류해서 덴마크 모델을 전파, 실천하고자 했다. 덴마크 모델에 주목한 지식인들은 한국과 덴마크가 제반 조건과 문화가 다르므로 제도를 그대로 이식할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들이 덴마크 모델에서 주목했던 것은 덴마크의 교육과 근로정신 고취 같은 정신적 요소였다. 그리고 이런 측면은 국민의 정신혁명이라는 쿠데타 세력의 목표와 부합했다. 이들 지식인이 군인들이 추진한 재건국민운동에 쉽게 합류할 수 있었던 것도 정신혁명론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재건국민운동은 정신혁명론에 기반한 덴마크 모델 인식에 따라 교육에 초점을 맞췄다. 재건국민운동의 주요 활동인 교육의 내용의 대부분이 사상교육과 정신계몽에 맞춰졌다. 지식인들이 농촌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에 주목했다면 군인들은 반공정신을 심기 위해 교육에 초점을 맞췄다. 운동에 참여했던 이들도 활동이 정신교육에 맞춰졌다고 증언했다. 본부 산하에는 중앙교육원이 설치되고 도 지부 단위로도 교육원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재건국민운동은 정치참여를 둘러싼 지식인과 군인 사이의 갈등으로 난항을 겪었다. 민정이양을 앞두고 본부와 지부에 배치된 군인 간부들이 정치활동을 벌이면서 비정치적 민간운동을 추구한 지식인들과 충돌했다. 군인들은 정신혁명을 군정의 이념을 국민에게 전파하고 학습시키는 것이라고 인식했다. 반면 지식인들은 농촌 지도자 양성을 통한 생활개선을 위해 비정치적 계몽에 초점을 맞췄다. 민정이양 이후 재건국민운동은 정치도구화와 예산낭비라는 비판을 받으면서 해체되었다. 군인들은 덴마크 모델에 대한 관심을 잃어갔다. 공업화에 따른 농촌에 대한 관심의 저하도 이유였다. 반면 재건국민운동에 참여했던 지식인들은 여전히 덴마크 모델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고 실천하려 했다. 덴마크 모델이 다시 국가적인 관심사에 오른 것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으로 농촌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부터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anish model was implemented and transformed by intellectuals through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in the early 1960s. In the late 1950s, when the rural population was large and poverty was still widespread, the Danish model emerged as a solution to improve rural issues. Denmark was noted as an agricultural nation that rose from the ashes of war and transformed wasteland into fertile land. For South Korea, which had also experienced war and was an agricultural nation, Denmark served as a model for revival. Following the April Revolution, modernization discourses emerged aimed at overcoming backwardnes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market economy, institutional reforms, and unification. However, intellectuals who followed the Danish model took an independent path. They joined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promoted by the coup forces after the May 16 coup and sought to spread and implement the Danish model. Intellectuals who focused on the Danish model believed that it was not possible to transplant the system as it was because South Korea and Denmark had different conditions and cultures. Therefore, what they focused on in the Danish model were spiritual elements such as education and the promotion of a strong work ethic. These aspects were in line with the coup forces' goal of a spiritual revolution among the people. The reason these intellectuals were able to easily join the Reconstruction Movement promoted by the military was because they shared the theory of spiritual revolution.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focused on education based on its understanding of the Danish model as a spiritual revolution. Most of the content of the movement's main activity, education, was geared toward ideological education and spiritual enlightenment. While intellectuals focused on education to train rural leaders, soldiers focused on education to instill anti-communist spirit.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lso testified that the activities were geared toward spiritual education. A central education center was established under the headquarters, and education centers were also established at the provincial branch level. However,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faced difficulties due to conflicts between intellectuals and military personnel over political participation. As the transfer of political power approached, military officers stationed at the headquarters and branches engaged in political activities, which led to clashes with intellectuals who pursued non-political civilian movements. Military personnel recognized the spiritual revolution as the dissemination and learning of military government ideology to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intellectuals focused on non-political enlightenment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through the training of rural leaders. After the transfer of political power,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was criticized for being politicized and wasting budget funds, and it was eventually dissolved. The military lost interest in the Danish model. Another reason was the decline in interest in rural areas due to industri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tellectual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continued to maintain their interest in the Danish model and sought to put it into practice. The Danish model returned to the national agenda in the 1970s when rural issues were given greater attention through the Saemaul Movement.

목차

Ⅰ. 머리말
Ⅱ. 재건국민운동 지식인의 덴마크 모델 수용과 이해
Ⅲ. 재건국민운동에서 덴마크 모델의 실천과 좌절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완(TaeWan Kim). (2025).재건국민운동 참여 지식인의 덴마크 모델 인식과 실천. 역사문화연구, (), 175-206

MLA

김태완(TaeWan Kim). "재건국민운동 참여 지식인의 덴마크 모델 인식과 실천." 역사문화연구, (2025): 175-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