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al Estate Auctions and Japanese Landowners in the Seoul Jongnogu Area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윤경(YounKyeong Kim)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95집, 95~12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부동산경매와 일본인 토지소유의 연관성에 대해 현 종로구 일대의 일본인 토지소유자를 중심으로 구명한 것이다.
일본인은 1985년 1월부터 공식적으로 서울에 거주할 수 있었으나, 거류지약정에 따라 청계천 이북 지역으로는 진출할 수 없었다. 그러나 강제병합 무렵 이미 현 종로구 일대의 전체 토지 중 4.1%(94,578평)가 일본인 개인 소유지로 바뀌었고, 1915년경 7.3%, 1925년경 11.4%로 늘어났다.
개인의 토지취득 방식에는 매매, 상속 및 증여, 국공유지 불하와 공매, 경매 등이 있지만, 사적 기록인데다 시간이 오래 지났기 때문에 일본인의 토지취득 방식을 모두 파악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나 경매에 관해서는 당시 일간신문에 게재된 “부동산경매공고”가 남아 있으므로, 이를 통해 경매에 의한 토지취득 사례를 일부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부동산경매제도는 1912년 조선민사령의 시행으로 도입되었고, 일본 舊민사소송법으로 의율되었다. 경성지방법원의 부동산경매공고는 1924년 1월 16일부터 1944년 3월 5일까지 20년 3개월간 3종의 일간신문에 게시되었다. 현 종로구 일대의 경매부동산은 80개동에 분포해 있었고, 경매신청 건수는 토지 2,892건, 가옥 등 건물 2,326건으로 도합 5,218건이었다. 경매신청 일본인은 291명이었고, 이들의 경매신청 부동산은 3,011건이다.
이들 291명 중 1925년경 현 종로구 일대에서 토지를 소유했거나 해방 후 귀속재산불하문서 속 前 소유자로 확인되는 인물은 74명(25.4%)이었다. 이들의 소유재산 중 20% 정도는 경매로 취득한 것이었다. 74명에 대한 인물 조사 결과 59명의 신원을 확인했는데, 대금업, 전당포업, 대가업 종사자가 28명(47.5%)을 차지했다. 잡화상, 총포상, 목재상, 농업, 유곽 경영 등 종사자가 24명(40.7%)이고, 경찰, 법원서기, 滿鐵 직원 등 공직 출신이 7명(11.9%)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estate auction system under Japanese rule and land ownership by Japanese individuals, focusing on Japanese landowners in the Jongnogu area.
The Ganghwa-do Treaty of 1885, officially allowed the Japanese to reside in Seoul, but according to the residence agreement, they were not allowed to enter the area north of Cheonggyecheon. However, at the time of compulsory annexation, 4.1%(94,578坪) of the total land in the current Jongnogu area was already converted into Japanese private property, increasing to 7.3% around 1915 and 11.4% around 1925.
Land acquisition methods include trading, inheritance and gift, and public ownership, public sale, auction, and exchange, but it is impossible to grasp all of the Japanese' land acquisition methods. Because it has been a long time and it is a private record. However, regarding auctions, there is a “real estate auction announcement” published in the daily newspaper at the time, so it is possible to identify cases of land acquisition through auctions.
The real estate auction system in Korea was introduced in 1912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Civil Command and was stipulated by the Japanese Civil Procedure Act. The real estate auction announcement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was posted in three daily newspapers for over 20 years from January 16, 1924 to March 5, 1944. The number of auctions in the Jongnogu area was 2,892 land and 2,326 buildings such as houses, a total of 5,218 cases. There were 291 Japanese auction applicants, and a total of 3,011 real estate applications were made.
Of the 291 people, 74(25.4%) owned land in the current Jongnogu area around 1925, or were identified as former owners in the documents on property claims after liberation. About 20% of the property they owned was acquired by auction. Among the 74 people, 59 people were engaged in the loan business, pawnshop and Housing Leasing businesses(47.5%). Twenty-four people(40.7%) were engaged in general merchandise, gun dealer, timber merchant, agriculture and business of prostitution, and seven(11.9%) were former public officials, including police, court staff, and railway company employees.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성지방법원의 부동산경매공고
Ⅲ. 경매신청 일본인 토지소유자들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集安지역 고구려 세계문화유산의 정비 현황과 활용 실태
- 역사의 서사화, 서사의 역사화: 홍경래난을 둘러싼 1812년 도성의 소문과 그 변주
- 일제하 대만과 조선의 토지조사사업 비교연구 - 두 ‘사업’의 계승성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 부동산경매공고를 통해 본 경성의 일본인 토지소유자들 - 현 서울시 종로구 일대를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한인(韓人) 국적(國籍)에 대한 고찰
- 재건국민운동 참여 지식인의 덴마크 모델 인식과 실천
- 1970년대 여자대학교의 공학 전환 논의와 귀결
- 남송 시기 兩淮 지역의 錢法 - 교자와 철전을 중심으로
- 잉글랜드 퍼블릭 스쿨의 법적 정체성과 자선적 기원 - 럭비 스쿨을 중심으로 본 공공성과 자율성의 조화
- 공정과 편파 사이: 洪武帝가 다이비엣과 참파의 갈등을 대하는 태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集安지역 고구려 세계문화유산의 정비 현황과 활용 실태
- 역사의 서사화, 서사의 역사화: 홍경래난을 둘러싼 1812년 도성의 소문과 그 변주
- 일제하 대만과 조선의 토지조사사업 비교연구 - 두 ‘사업’의 계승성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