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Intersections of Bildung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나경현(Kyunghyun Na)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4호, 175~18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일 교육 철학의 핵심 개념인 빌둥(Bildung)과 현대 사회적경제 담론의 주요 주제인 사회적기업가정신 간의 철학적·이론적 연결고리를 탐색한다. 빌둥은 단순한 지식이나 기술 습득을 넘어 인간의 전인적 성장, 자율성, 비판적사고, 사회적 책임을 포괄하는 자기 형성 과정이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우선시하며 혁신적인 방법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실천적 노력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빌둥의 역사적 전개와 핵심 특징, 그리고 사회적기업가정신의 주요 구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두 개념은 인간 형성(전인적 성장, 주체적 자기 형성, 이상 실현 의지), 사회적 관계 및세계 이해(세계와의 상호작용, 비판적 현실 인식, 윤리적 실천), 그리고 실천 지향성 및 과정(이론과 실천의 통합, 과정으로서의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다차원적인 접점을 공유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헤르더, 칸트, 실러, 훔볼트 등의 빌둥 사상가들이 제시한 전인적 인간상, 자율성, 사회적 책임 등의 가치는 사회적기업가가 추구하는 사회적 미션, 혁신성, 윤리적 리더십과 깊이 연관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창업 교육이 직면한 경제적 성과 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적 가치와 개인의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인적 사회적기업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구체적으로 빌둥 철학에 기반하여 교육 목표를 재정립하고, 비판적 사고, 자기 성찰, 협력 역량 등을 함양하는 통합적 교육 내용과 참여 중심의 교수법을 도입하며, 과정 중심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지원하는 정책 및 제도적생태계 조성을 제언한다. 이를 통해 빌둥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의 통합적 이해를 통해 한국 사회적기업 창업 교육의 질적 심화와 사회 전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connections between Bildung, a core concept in German educational philosophy, and social entrepreneurship, a key theme in contemporary socio-economic discourse. Bildung encompasses a process of holistic human growth, autonomy, critical thinking, and social responsibility, transcending the mere acquisition of knowledge or skills. Social entrepreneurship is a practical endeavor aimed at solving social problems and creating social value through innovative method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analyz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ore characteristics of Bildung, alongside the main componen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e findings reveal multidimensional points of convergence between the two concepts in terms of human formation (holistic growth, subjective self-formation, and the will to realize ideals), social relations and world understanding (interaction with the world, critical perception of reality, and ethical practice), and practical orientation and process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growth as a process). In particular, the values of holistic human development, autonomy, and social responsibility, as presented by Bildung thinkers such as Herder, Kant, Schiller, and Humboldt, are deeply intertwined with the social mission, innovativeness, and ethical leadership pursued by social entrepreneur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posits the necessity of a paradigm shift in current Kore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tends to focus on economic outcomes, towards fostering holistic social entrepreneurs who simultaneously pursue social value and individual growth. Specifically, it suggests re-establishing educational goals based on Bildung philosophy, introducing integrated educational content and participatory teaching methods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self-reflection, and collaborative competencies, and building a process-oriented evaluation system, supported by a conducive policy and institutional ecosystem.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enhancing Korean social enterprise start-up education and contributing to societal development by fostering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Bildung and social entrepreneurship.
목차
Ⅰ. 서 론
Ⅱ. 빌둥(Bildung)개념의 이해
Ⅲ. 사회적기업가정신의 이해와 구성요소
Ⅳ. 빌둥(Bildung)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의 접점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회창업동기의 매개효과와 학업성취도의 조절 및 조절된 매개효과
- 서비스 기업의 기술·비기술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비기술혁신의 매개효과 및 협력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책금융과 경영지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기독교 목회자 및 선교사의 공동체 활동 역량 및 사회적 환경이 자기효능감 매개로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 부분 은퇴자의 노동시장 재진입 구직 경험 영향요인 연구
- 빌둥(Bildung)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의 접점 탐색 및 한국 사회적기업 창업 교육에의 시사점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진로 카오스 이론의 연구 동향
- 딥테크 분야의 R&D 협력 파트너 탐색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디지털 치료제 분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사내기업가정신 연구동향 분석
- 중고령 근로자의 장래근로희망 유형화 및 결정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인사조직연구 제33권 제3호 목차
- 인사조직연구 제33권 제3호 논문통계 외
- The “Bridge” over Troubled Water: Exploring the Emergence of Cross-unit Collaboration in the Technical Core of Acquired Fir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