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Business Performance in Start-up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licy Financing and Manager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홍성우(Seongwoo Hong) 허철무(Chulmoo Heo)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4호, 47~8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이 정책금융과 경영지원을 매개하여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술 중심 창업기업은 국가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업은 기술개발 이후 상용화 단계에서 자금 조달, 조직 운영, 시장 진입 등에서 구조적인 어려움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특히, 단순한 기술역량 보유만으로는 성과로 이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기술사업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지원하는 중개 요인의 작동 메커니즘을 밝힐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정책금융과 경영지원이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 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술사업화역량을 R&D역량, 제품화역량, 생산화역량 및 마케팅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전국에 소재한 창업기업의 임직원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 217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v26.0과 PROCESS macro v4.2 를 사용하였으며 두 개의 매개변수가 포함된 이중병렬매개모형을 적용하여 관계 구조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술사업화역량의 모든 하위변수가 정책금융과 경영지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생산화역량은 정책금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제품화역량은 경영지원에 가장 강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책금융과 경영지원은 모두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경영지원의 효과가 정책금융보다 상대적으로 더크게 나타났다. 셋째, 기술사업화역량은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 생산화역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다음으로 제품화역량, R&D역량, 마케팅역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생산 및 제품화 단계의역량 강화가 기업성과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넷째, 정책금융과 경영지원은 기술사업화역량과 기업성과 간을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책금융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생산화역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경영지원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제품화역량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학문적 함의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사업화역량의 다차원적 구성 요인의 중요성 규명하였으며, 둘째, 정책금융과 경영지원의 매개효과 구조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역량 중심 창업지원 연구를 확장시켰고 넷째, 성과매개 메커니즘에 대한 실증적 자료 제공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생산화역량에 대한 집중적 지원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둘째, 정책금융의 전략적 활용 방안 제시하였고, 셋째, 경영지원의 질적 고도화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넷째, 역량 기반 맞춤형 창업지원 정책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tart-up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policy financing and managerial support.
With the acceler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transition to a green economy, technology-driven start-ups are emerging as a new engine of national economic growth. However, these firms often face structural challenges in the commercialization stage following technology development, such as securing funding, managing operations, and entering markets. To overcome these barriers, policy support and institutional backing are essential. In particular, merely possessing technological capabilities is not sufficient to generate business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ntire proc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clarify the operational mechanisms of mediating factors that support i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roles of policy finance and management support in these relationship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dimensions: R&D capability, productization capability, 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A total of 217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employees of start-ups across the countr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employed SPSS v26.0 and PROCESS macro v4.2, applying a dual-parallel mediation model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sub-dimension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policy financing and managerial support. Among them, production capabili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olicy financing, while productization capability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effect on managerial support. Second, both policy financing and managerial suppor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with managerial support showing a relatively stronger influence. Thir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significantly affected business performance, with production capability having the greatest impact, followed by productization, R&D, and marketing capabil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engthening capabilities in the production and productization stages plays a critical role in enhancing business performance during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Fourth, policy financing and managerial support were confirm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indirect effect through policy financing was highest for production capability, while the effect through managerial support was strongest for productization capability.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dentifies the importance of the multidimensional componen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Second, it empirically presents the mediating structure of policy financing and managerial support. Third, it extends research on capability-based start-up support. Fourth, it provides empirical data on performance mediation mechanisms.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1) the need for focused support on production capability, (2) strategic utilization of policy financing, (3) the necessity of qualitative enhancement of managerial support, and (4)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capability-based start-up support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회창업동기의 매개효과와 학업성취도의 조절 및 조절된 매개효과
- 서비스 기업의 기술·비기술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비기술혁신의 매개효과 및 협력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책금융과 경영지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기독교 목회자 및 선교사의 공동체 활동 역량 및 사회적 환경이 자기효능감 매개로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 부분 은퇴자의 노동시장 재진입 구직 경험 영향요인 연구
- 빌둥(Bildung)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의 접점 탐색 및 한국 사회적기업 창업 교육에의 시사점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진로 카오스 이론의 연구 동향
- 딥테크 분야의 R&D 협력 파트너 탐색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디지털 치료제 분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사내기업가정신 연구동향 분석
- 중고령 근로자의 장래근로희망 유형화 및 결정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인사조직연구 제33권 제3호 목차
- 인사조직연구 제33권 제3호 논문통계 외
- The “Bridge” over Troubled Water: Exploring the Emergence of Cross-unit Collaboration in the Technical Core of Acquired Fir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