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령 근로자의 장래근로희망 유형화 및 결정요인

이용수  3

영문명
Classification and Determining Factors of Future Work Aspirations among Middle-aged and Older Workers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박보람(Boram Park) 송지영(Jiyoung Song)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4호, 129~1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시간과 자본 축적의 관점에서 정년 퇴직 전·후 중고령 근로자의 장래근로희망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고, 잠재유형의 결정 요인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24년도에 실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년 퇴직 전후의 만 55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중고령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 근로자의 장래근로희망은 희망동기, 희망임금수준, 희망근로연령을 기준으로 네 가지 잠재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건강허락 65세까지 중·상위임금 희망형’, 둘째, ‘생계목적 상위임금 희망형’, 셋째, ‘생계/사회요구 65-70세까지 희망형’, 넷째, ‘건강/사회요구 하위임금 희망형’으로 도출되었다. 전체적으로 비생계 목적의 장래근로희망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나타나 중고령자의 근로참여 동기가 생계유지를 넘어 자아실현, 사회참여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어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형별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세대, 학력, 혼인상태 등 개인 속성과 함께 최장기 근로 직장의 근속연수, 퇴직시기, 직종, 퇴직사유와 같은경력 특성이 장래근로희망 유형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기간의 근속 경험, 관리·전문직 직종 경력, 자발적 퇴지 여부 등은 비생계 목적의 근로희망과 밀접히 관련되었다. 반면 단순노무직 종사 경험, 불가피한 퇴직 경험등은 생계 목적의 근로희망과 관련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중고령 근로자의 장래근로희망을 개인의 미래시간 인식과 경력축적 관점에서 다차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와 정책 설계에 실질적 시사점을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categorizing the perceptions of middle-aged and older workers regarding their future work aspirations before and after retir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future time and capital accumulation, and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these potential categorie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2024 Economic Activity Population Survey's elderly supplementary survey was utilized to conduct latent class analysis on middle-aged and older wage workers aged 55-69 before and after mandatory retire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uture work aspirations of middle-aged and older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types based on three criteria: motivation for work, desired wage level, and desired working age. First, the “Health-Permitted Upper-Middle Income Hope Type” second, the “Livelihood-Purpose Upper Income Hope Type” third, the “Livelihood/Social Demand 65-70 Years Hope Type” and fourth, the “Health/Social Demand Lower Income Hope Type” were identified. Overall, the proportion of future work preferences not driven by livelihood purpose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suggesting that the work participation motiv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re diversifying beyond livelihood maintenance to include self-realiz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Furthermore,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each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eneration, education level, and marital status, as well as caree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length of service at the longest serving employment, retirement timing, occupation, and reason for retiremen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future employment preference types. In particular, long-term tenure experience, career experience in managerial or professional occupations, and voluntary retirement were closely related to non-livelihood-driven employment aspirations. On the other hand, experience in manual labor occupations and involuntary retirement were associated with livelihood-driven employment aspiration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expanding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designing policies for the middle-aged and older workforce by conduct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their future employment preferences from the perspectives of individual perceptions of future time and career accumul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보람(Boram Park),송지영(Jiyoung Song). (2025).중고령 근로자의 장래근로희망 유형화 및 결정요인.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 (4), 129-150

MLA

박보람(Boram Park),송지영(Jiyoung Song). "중고령 근로자의 장래근로희망 유형화 및 결정요인."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4(2025): 129-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