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emple food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저자명
- 류용현(Yong hyun Ryu) 김진선(Jin sun Kim) 양택수(Teck soo Yang) 조현지(Hyun ji Jo)
- 간행물 정보
- 『보조사상』第71輯, 289~32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로 사찰음식 소비가 늘어나는 추세이나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사찰음식과 관련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웹사이트에서 ‘사찰음식’을 주제어로 논문을 검색한 후, 최종 77편의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여, 연도별, 학술지별, 연구자 현황,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찰음식에 대한 연구는 1994년에 처음 등장하여 2015년에 최대치를 보인 후 최근에는 매년 3~5편 정도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다. 둘째, 한국조리학회,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한국관광학회 등의 학술지에서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셋째, 연구논문의 저자는 1인 단독인 경우가 많았고, 이심열이 10편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위 취득기관은 동국대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자의 학위전공은 호텔/외식 산업전공이 13회로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다섯째,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확인했을 때, ‘가치’, ‘인식’, ‘만족’, ‘의도’, ‘요인’ 등의 키워드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찰음식 연관어로는 ‘대중’, ‘인식’, ‘전문점’, ‘만족도’ 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 통해 사찰음식 관련 단어와 4개의 연구 주제를 설정하고 분류하였다.
영문 초록
Despite growing interest in temple food due to health and wellness trends, related research is limited. This study analyzes existing temple food research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We examined 77 papers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analyzing trends by year, journal, researcher, and methodology. Language network analysis was also employed. Key findings include: temple food research emerged in 1994, peaking in 2015; major publishing journals are in food science and tourism; most papers are single-authored; quantitative methods, particularly surveys, dominate; and key themes include valu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he study identified four main research topics related to temple food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 this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곡 김잉석의 보조 연구에 대한 소고
- 『구사론』 제9장에 대한 진제와 현장의 한역용어 비교 - 중국역경원칙에 따른 음역과 의역 비교
- 『범망경』 십중계(十重戒)의 범죄 구성요건에 관한 연구 - 신라 승려들의 인(因)·연(緣)·법(法)·업(業) 이해를 중심으로
- 탑돌이에 나타난 우요(右繞)의 상징과 의미
- 중국불교에 나타난 관세음보살에 대한 관점 - 도생, 법운, 천태지의를 중심으로
- 돈황본 『수심요론(修心要論)』의 신(信)과 신행(信行) 연구
- 목우가풍의 존재론적 위상과 계승 - 불교 정신문화 교류를 중심으로
- 약카(Yakkha) 신앙의 불교적 해석과 수용 - Āḷavakavaṇṇāna를 중심으로
- 도섬(道暹)의 생애와 저작 - 기초 연구 및 진위 검토
- 사찰음식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 열린유아교육연구
- 불교문예연구
- 숙명디자인연구
- 불교학보
- 인도철학
- 관광학연구
- 호텔리조트연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한국정토학연구
- 보건과학논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한국교육문제연구
- 한국사회복지교육
- 한국교원교육연구
- 정보관리학회지
- 동아시아불교문화
- 아시아교육연구
-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열린유아교육연구
- 보조사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동양문화연구
- 인도철학
- 문화와 융합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관광진흥연구
- 동북아관광학회
- 한국조리학회지
-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콘텐츠학회지
- 한국외식경영연구
- 외식경영연구
- 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아동교육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