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spectives o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n Chinese Buddhism: Focusing on Daosaeng, Fayun, and Tiantai Zhiyi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저자명
- 이병욱(Byungwook Lee)
- 간행물 정보
- 『보조사상』第71輯, 165~19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중국불교에 나타난 관세음보살에 대한 관점을 검토하기 위해서 도생(道生), 법운(法雲), 천태지의(天台智顗)의 관점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을 간단히 소개한다. 3장에서는 도생과 법운의 관점에 대해 알아본다. 도생은 ‘관세음’과 ‘보문’을 나누어서 접근한다. 그래서 ‘관세음’은 중생을 구제하려는 마음을 품은 존재라는 것이고, ‘보문’은 중생을 널리 구제하려는 신묘한 작용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천태지의의 관점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법운은 관세음보살이 중생의 음성(구업), 의업, 신업을 관조해서 중생을 구제하고, 또 이 세 가지 업을 종합적으로 관조해서 중생을 구제한다고 한다. 이 주장도 천태지의의 관점에 영향을 주었다. 4장에서는 천태지의의 관점에 대해 살펴본다. 천태지의는 도생과 법운의 관점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자신의 독자적 관점을 제시한다. 그것이 ‘관세음보문’에 대해 글자 하나하나씩 해석하는 것에서 나타난다. 이 해석에 따르면, 관세음보살은 실상을 관조하는 존재이고, 관세음보살의 가르침을 듣거나 인연을 맺은 중생은 모두 부처가 되며, 관세음보살이 제시하는 가르침은 원만한 가르침이고 중도의 가르침이라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n order to examine the viewpoints of Guanshiyin(觀世音) Pusa(菩薩) that is,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n Chinese buddhism, we look at the viewpoints of Daosheng(道生), Fayun(法雲), and Tiantai Zhiyi(天台智顗). In chapter 2, I briefly introduces the contents of Guanshiyin pusa pu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in the Lotus Sutra. In chapter 3, I examines the viewpoints of Daosheng and Fayun. Daosheng(道生) approaches by dividing ‘Guanshiyin(觀世音)’ and ‘Pumen(普門)’. So, Guanshiyin(觀世音)’ is a being with a heart to save all living beings, and ‘Pumen(普門)’ refers to a mysterious action to save all living beings widely. This influenced the viewpoints of Tiantai Zhiyi. And Fayun(法雲) says that Avalokiteśvara Bodhisattva saves sentient beings by contemplating their voice(oral karma), physical karma, and intentional karma, and also saves them by contemplating these three karma comprehensively. This argument also influenced the viewpoints of Tiantai Zhiyi(天台智顗). In chapter 4, I examines the viewpoints of Tiantai Zhiyi. While being influenced by Daosaeng and Fayun's viewpoints, Tiantai Zhiyi(天台智顗) presents his own independent viewpoint. It appears in the interpretation of each letter of ‘Guanshiyin(觀世音)’ and ‘Pumen(普門)’.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s a being who contemplates reality, and all sentient beings who listen to Avalokiteśvara Bodhisattva’s teachings or have relationships become Buddha, and the teachings that Avalokiteśvara Bodhisattva presents are perfect teachings and the middle way of teachings.
목차
Ⅰ. 서론
Ⅱ.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
Ⅲ. 도생과 법운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대한 관점
Ⅳ. 천태지의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대한 관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곡 김잉석의 보조 연구에 대한 소고
- 『구사론』 제9장에 대한 진제와 현장의 한역용어 비교 - 중국역경원칙에 따른 음역과 의역 비교
- 『범망경』 십중계(十重戒)의 범죄 구성요건에 관한 연구 - 신라 승려들의 인(因)·연(緣)·법(法)·업(業) 이해를 중심으로
- 탑돌이에 나타난 우요(右繞)의 상징과 의미
- 중국불교에 나타난 관세음보살에 대한 관점 - 도생, 법운, 천태지의를 중심으로
- 돈황본 『수심요론(修心要論)』의 신(信)과 신행(信行) 연구
- 목우가풍의 존재론적 위상과 계승 - 불교 정신문화 교류를 중심으로
- 약카(Yakkha) 신앙의 불교적 해석과 수용 - Āḷavakavaṇṇāna를 중심으로
- 도섬(道暹)의 생애와 저작 - 기초 연구 및 진위 검토
- 사찰음식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