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돈황본 『수심요론(修心要論)』의 신(信)과 신행(信行)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Faith and Practice in Xiuxinyaolun (Treatise on the Essentials of Cultivating the Mind)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강지언(Ji-eon Kang)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第71輯, 35~6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선종 형성기의 주요 문헌 중 하나인 돈황본 『수심요론(修心要論)』의 초기 사본(P.3664)에 나타나는 신과 행을 파악하고, 논에서는 당대와 다르게 평가하는 불교 신행을 분석하며 초기 선종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수심요론』은 참된 부처를 법으로서의 부처로 보고 있으며, 이를 오직 마음과만 연결한다. 따라서 수행자의 청정심이 참된 부처이고 수심(守心)하여 깨닫는 것이 성불이라는 심 중심의 수증론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믿음만을 주장한다. 중국에서는 제불보살에 대한 염불, 선정에서의 부처 및 불국토의 친견, 보살도의 일환으로서 고행이 성행하였다. 이러한 수행에는 보신으로서 불보살의 존재, 경전 속 이들의 이야기, 보살의 도과(道果)에 대한 믿음이 존재한다. 그러나 논은 법으로서의 부처인 자기 마음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하는 입장에서 대상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불교 수행으로는 생사를 면할 수 없고 오히려 열반에 장애가 될 수도 있다고 말한다. 나아가 대승불교에서 불탑(경탑) 및 경전은 법으로서의 부처를 가리켰으며, 이는 중국 불교에서 폭넓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수심요론』은 일승(一乘)은 오직 마음에 있는 진여법체에 있다는 입장에서 불탑 조성 등의 공덕이나 경전의 내용은 중생을 위한 방편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이에 대승 경전을 인용하면서도 특정 경전을 중시하지 않고,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특징인 경론의 수지 독송도 언급하지 않으며, 인용 구절을 논의 의도에 맞추어 재해석한다. 이처럼 『수심요론』은 타 종파와 구분되는 선종의 믿음과 이를 바탕으로 한, 심 수행의 특징을 드러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arly manuscript P.3664 of Xiuxinyaolun (修心要論), a key text from the formative period of early Chan Buddhism. The study analyzes the concept of faith (信) presented in the text, along with Buddhist faith-based practices that were widely practiced in China at the time but evaluated differently in the treatise.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an Buddhist thought. Xiuxinyaolun regards the true Buddha as the Dharma itself and exclusively associates it with the mind. Thus, it presents a mind-centered theory of Buddha-nature and enlightenment, where the practitioner's pure mind is the true Buddha,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achieved through maintaining the mind (守心). Additionally, Xiuxinyaolun offers a distinct perspective on Buddhist faith-based practices widely practiced during its time. In China, practices such as reciting the nam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visualizing Buddhas and their lands in meditation, and ascetic practices as part of the Bodhisattva path were prevalent. These practices were based on faith in the existence of Buddhas and Bodhisattvas as their reward bodies, scriptural accounts of their deeds, and belief in their attainment of the Bodhisattva path and its fruition. However, Xiuxinyaolun, prioritizing maintaining one’s mind as the means to enlightenment, argues that practices based on faith in the reward-body Buddhas and Bodhisattvas cannot free one from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and may even become an obstacle to nirvana. Furthermore, in Mahāyāna Buddhism, stupas (śarīra stupas and scripture stupas) and scriptures were regarded as the Dharma-body Buddha, and this understanding was widely accepted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m, as seen in the construction of stupas and the advancement of Buddhist teachings. However, Xiuxinyaolun asserts that the One Vehicle exists solely within the true suchness of the mind. From this perspective, the merit of stupa construction and the content of scriptures are merely skillful means for sentient beings, while attaining Buddhahood depends solely on maintaining the mind. Accordingly, unlike contemporary commentaries, Xiuxinyaolun quotes Mahāyāna scriptures but does not prioritize any particular text. It also does not mention the recitation and memorization of scriptures —a defining characteristic of Mahāyāna practice— and instead reinterprets quoted passages in alignment with the practice of maintaining the mind. Therefore, the concept of faith in Xiuxinyaolun reveals the distinctive belief system of Chan Buddhism, setting it apart from other Buddhist schools, and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mind-centered practice based on this faith.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수심요론』의 信
Ⅲ. 염불 · 선정 · 고행 신행
Ⅳ. 불탑 · 경전 신행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언(Ji-eon Kang). (2025).돈황본 『수심요론(修心要論)』의 신(信)과 신행(信行) 연구. 보조사상, (), 35-66

MLA

강지언(Ji-eon Kang). "돈황본 『수심요론(修心要論)』의 신(信)과 신행(信行) 연구." 보조사상, (2025): 3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