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망경』 십중계(十重戒)의 범죄 구성요건에 관한 연구 - 신라 승려들의 인(因)·연(緣)·법(法)·업(業) 이해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lements of Crimes in the Ten grave Precepts of the Brahma’s Net Sutra: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Cause, Condition, Method of conduct, and Completion of a case by Silla Monks Wonhyo, Uijeok, Seungjang, and Taehyun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박성일(Seongil Park)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第71輯, 67~9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범망경』 십중계의 범죄를 이루는 네 가지 구성요건인 ‘인(因)·연(緣)·법(法)·업(業)’을 바탕으로 신라 승려 원효, 의적, 승장, 태현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원효는 『마하승기율』 등 한역 율장을 두루 고려하고 있다. 반면 의적, 승장, 태현은 『유가사지론』 본지분의 「보살지」와 같은 유가계본(瑜伽戒本)이 아니라 『유가사지론』 섭결택분의 「유심유사등삼지」(권59)에 나오는 십악업도의 다섯 가지 조건 ‘사·상·욕요·번뇌·방편구경’을 인용하고 있다. 의적은 이를 『범망경』의 인·연·업·법 중 ‘연’을 설명할 때만 활용한다. 반면 승장은 더욱 적극적으로 『범망경』의 구성요건은 무시한 채 『유가사지론』 권59의 다섯 가지 조건만을 주로 활용한다. 의적은 『범망경』의 인·연·업·법 해석에 『유가사지론』 권59 다섯 가지 조건을 배대하지만, 이 다섯 가지 조건에 본인의 해석을 통해, ‘방편구경’은 ‘방편’과 ‘구경’으로 나누고, ‘욕요’ 역시 '의요'로 바꾸는 응용을 가한다. ‘범행의 구성요건’의 분석은 행위와 동기를 어떻게 포착할 것인지 하는 윤리학적 가치판단의 토대가 될 것이다. 현재까지도 영향력을 지니는 『범망경』의 주석 전통 속에는 ‘행위’, ‘동기’, ‘방법’, ‘결과의 달성 여부’ 등이 이미 체계적으로 분석되어 있다. 본고의 연구를 통해 신라 주석가들의 입장이 살해행위를 일으킨 의도, 범죄행위 이전에 발생한 업의 여부, 인등기심을 통한 수증론적 차이 등을 발견할 수 있다. 대승보살계를 대표하는 『범망경』의 중범죄 구성요건에 대한 논의가 ‘동아시아 불교윤리학 연구’의 확립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erspectives of the Silla monks Wonhyo (元曉), Uijeok (義寂), Seungjang (勝莊), and Taehyun (太賢) on the four elements of crime in the Ten grave Precepts of the Brahma’s Net Sutra (Ch. Fanwang jing, 梵網經): “Cause” (因), “Condition” (緣), “Method of conduct” (法), and “Completion of a case” (業). Wonhyo considers various texts, including the Mahāsāṃghika Vinaya (摩訶僧祇律) , while Uijeok, Seungjang, and Taehyun place significant emphasis on the five conditions of the “Ten Evil Acts” (十惡業道) in volume 59 of the Yogācārabhūmi-śāstra(Ch. Yuqie shidi lun, 瑜伽師地論) when interpreting the elements of crime.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or its commentary on the Bodhisattva Path (菩薩地), they focus on these five conditions: “affair” (事象), “ideation” (想), “intention” (欲樂), “affliction” (煩惱), and “complete method” (方便究竟). Uijeok exclusively applies these conditions when explaining the element of “Condition” (緣) in the Brahma’s Net Sutra. In contrast, Seungjang largely disregards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Brahma’s Net Sutra and predominantly relies on the five conditions from volume 59 of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Uijeok incorporates these five conditions to interpret the Brahma’s Net Sutra’s elements of “Cause”, “Condition”, “Method of conduct”, and “Completion of a case”, while also offering his own interpretation. Notably, he subdivides the “complete method” (方便究竟) into “method” (方便) and “completion” (究竟) and alters “intention” (yule, 欲樂) to “intention” (yiyao, 意樂).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a crime serves a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ethical value judgments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actions and motives. Within the exegetical tradition of the Brahma’s Net Sutra, which remains influential to this day, key components—Cause”, “Condition”, “Method of conduct”, and “Completion of a case”—have already been systematically analyzed. The discussions on the grave crimes in the Brahma’s Net Sutra, a representative text of the Mahāyāna Bodhisattva Precep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ast Asian Buddhist ethics as a scholarly field.

목차

Ⅰ. 서론: 『범망경』 십중계에서의 행위 완성의 구성요건
Ⅱ. 『범망경』 십중계에 대한 신라 승려들의 견해
Ⅲ. 구성요건에 대한 신라 승려들의 해석 차이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일(Seongil Park). (2025).『범망경』 십중계(十重戒)의 범죄 구성요건에 관한 연구 - 신라 승려들의 인(因)·연(緣)·법(法)·업(業) 이해를 중심으로. 보조사상, (), 67-97

MLA

박성일(Seongil Park). "『범망경』 십중계(十重戒)의 범죄 구성요건에 관한 연구 - 신라 승려들의 인(因)·연(緣)·법(法)·업(業) 이해를 중심으로." 보조사상, (2025): 67-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